스킵 네비게이션


호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20.10 | 연재 [임안자의 꿈꾸는 인생]
스위스에서 50년, 스위스에서 산다는 것
나에게 애인이
임안자(2020-10-08 17:51:34)


임안자의 꿈꾸는 인생



스위스에서 50년, 스위스에서 산다는 것 ⑩


나에게 애인이

임안자 영화평론가



바젤에서 프리부룩으로 자리를 옮긴 뒤에 나는 스위스 남자 친구와 한 발짝 가까워졌다. 대학 입학을 도와준 그에게 감사한 마음도 있었고 낯선 곳에서 외로웠던 터라 그를 어쩌다 강의실 밖에서 만나면 커피를 마시든가 아니면 대학 근처에서 산보를 하고 때로는 그를 초청하여 같이 저녁 식사를 했다. 그 대신 그는 내가 쓴 독어의 문장이나 세미나에 제출할 글들을 고쳐주었고 서너 번은 주말을 이용하여 그가 타고 다니는 모터사이클 뒤에 타고 하루 종일 시외 구경을 다녔다. 그렇게 2년을 친하게 지냈음에도 그는 조금도 나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렇다고 그의 주변에 친한 여자나 남자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었다. 처음에는 내가 동양 여자라서 예의로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가 보다고 생각했으나 그의 한결같은 태도에 언뜻 그가 혹시 어떤 심리적, 신체적으로 말 못 할 사정이 있어서 나와 가까워지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가 싶었다. 하지만 예민한 문제를 본인에게 직접 물어볼 수도 없는 처지여서 그냥 친구로서 계속 가깝게 지냈다. 그러다가 1973년 봄 학기에 그가 갑자기 신문학을 그만두고 베른의 스위스독어뉴스보급처(SDA)에 기자로 취업하면서 우리 사이는 저절로 멀어졌고 그 뒤 바젤에서 우연히 몇 번 만났으나 그는 매번 혼자였다. 


  그리고 1973년 가을에 페터가 처음으로 프리부룩에 왔다. 실은 내 초청으로 들렸던 것인데 막상 그를 보려니까 너무 비참하게 끝나버린 우리의 첫 데이트가 생각나서 왠지 껄끄러웠다. 하지만 그는 이전에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듯 반가워하면서 두 팔을 벌려 나를 껴안았다. 그리고는 ‘지난번 전화에서 말한 여자친구와는 끝났으니 그에 신경 쓰지 말라. 그동안 많이 보고 싶었는데 나를 만나는 게 지금도 두렵냐’고 살며시 물었다. 나는 어색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려고 ’마르크시스트를 환영합니다‘라고 장난스럽게 대답을 하고는 픽 웃었다. 그러자 그는 내 속마음을 이해한 듯 고개를 끄덕이며 내 손을 꼭 잡았는데 그 손의 따뜻함을 타고 그의 사랑이 내 가슴에 깊이 와닿았다. 그는 내가 서른한 살에 만난 첫 애인이었다.   


  바젤과 프리부룩의 거리는 130km밖에 되지 않지만 우리는 서로 바빠서 프리부룩 이후에 자주 만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가끔 그를 만나는 날은 웃을 일이 많아서 마냥 즐거웠고 하고픈 이야기가 수두룩해서 지루할 틈이 없었다. 내가 처음으로 그의 집에 초대되던 날이었다. 그는 점심에 피자를 구워준다며 부엌으로 갔는데 중간에 자꾸 나하고 이야기를 하느라 파자를 새까맣게 태워버렸다. 피자 대신 빵으로 점심을 때우긴 했지만 배꼽을 잡고 웃던 그날의 피자 에피소드는 나중에도 여러 형태로 심심치 않게 거듭되면서 나를 웃겼다. 그러고 보면 나는 원래 웃음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 같았다. 사춘기 이후의 사진을 보더라도 대개 입이 다물려 있고 슬픈 눈빛이었는데 페터는 나와 달리 짓궂고 서글서글해서 그를 사귀면서부터 확실히 나한테 웃음이 잦아졌다. 그는 문학에 쏠렸던 나와 달리 어릴 때부터 음악을 좋아해서 고전 클래식에서부터 현대 음악까지 내리꿰었고 재즈에도 관심이 많았다. 특히 패츠 월러와 루이 암스트롱의 음악을 아주 좋아했다. 사실 내가 재즈에 빠지게 된 것도 그이 때문이었지만, 재즈는 사실 우리의 사랑에 불을 붙여준 불쏘시개였다.  


  페터는 1968년 학생 시절에 값싼 집 한 채를 빌려서 신문배달원 여자 하나와 화약회사원, 병원 검사실 직원, 병원 사진사와 함께 살고 있었다. 그 시절 젊은이들한테서 곧잘 볼 수 있었던 “주거 공동체”식의 살림살이였는데, 다섯 중에서 나이가 제일 많았던 그가 1973년까지 의사가 된 뒤에도 계속 남아 맏형처럼 집안일을 돌봤다. 나도 그 집에 어쩌다 들리면 그들이 좋아하는 호박부침개나 오징어볶음을 만들어 같이 먹곤 했다. 그들은 저녁식사가 끝나면 으레 커피나 차 아니면 슈납스(스위스의 과일로 빚은 45% 화주)잔과 함께 이야기판을 벌렸고, 그 자리에는 그들의 옆집에서 하숙하는 독일 출신 대학생 미카엘도 자주 끼어들었다. 바젤대학에서 슬라브학의 러시아 전공이었던 그는 학습 과정으로 모스크바 대학의 세미나에 여러 번 참가하면서 거기서 직접 보고 들은 새로운 소식을 들려주었고 대부분 스위스에서 듣지 못했던 싱싱한 뉴스들이었다. 그밖에 그때 자주 떠오르던 화젯거리는 20여 년에 가까운 미국의 베트남 전쟁과 1973년에 칠레 군정부의 쿠데타와 그로 인한 살바토레 알렌데 대통령의 죽음에 대해서였다. 특히 칠레 군정권의 대량학살에 대해서는 매번 열띤 토론이 벌어졌고, 페터가 알고 지내는 몇몇 칠레의 난민 의사들을 통해서 그들은 칠레의 상황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있었다. 물론 그 자리에 스위스의 사회 문제도 자주 떠올랐다. 그중에서 가장 시끄러웠던 논란거리는 “쉬바르젠바흐 제의”(Schwarzenbach-Initiative)로 알려진 반외국인 운동이었다. 자세히 말하면, 1960년대에 스위스의 우파 정당은 스위스의 경제부흥으로 국내로 밀집하는 외국 노동자들을 겨냥한 국수주의 운동을 일으켰다. 그리고 그 와중에서 40년대에 나치주의 회원이었던 친극우파 국회의원 쉬바르젠바흐는 “과도한 외국 영향”을 막기 위하여 1967년에 ”국민 제의“ (Volksinitiative)를 발표하여 국민투표에 부쳤다. 다행히도 그의 제의는 패배로 끝났으나 아주 근소한 차이로 졌는지라 극우파의 운동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서 오랫동안 논쟁이 그치질 않고 계속됐었다. (국민 제의“는 스위스 특유의 법적 제도로서 스위스 시민은 기본적으로 국민청원을 제안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져 있으며 국민 투표로 가부가 결정된다. 그러나 성공률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그건 그렇고, 나는 신문학을 공부하면서도 그때까지 한국에 관련된 뉴스 말고는 다른 나라의 정치에 관심을 두지 않고 살았다.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듣고 볼 수 있는 형편도 아니어서 국제 문제는커녕 스위스에서 일어나는 일조차 제때에 알지 못할 때가 숱했다.


쉬바르젠바흐 사건도 그때서야 알게 됐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 거주 공동체에서의 토론은 호기심이 가는 면도 더러 있었지만 대체로 낯설고 불편스러웠다. 어쩌면 토론 문화가 활발하지 않았던 나라에서 자라서 그랬을 수도 있었겠지만 정치에 대한 쟁론이면 무조건 쉬쉬하던 70년대 한국의 정치적 풍토 또한 나로서는 무시할 수는 없는 현실이었다. 그러기에 정치에 관련된 비판적인 토론을 듣고 있자면 나도 모르게 반사적으로 이래도 괜찮을까? 싶어 마음이 편치 않았다. 하지만 무관심과 무식이 자랑거리일 수는 없었다. 언젠가부터 토론 자리에서 제대로 말 한마디 못하고 멍청히 앉아 다른 사람들의 말만 듣고 있는 자신이 멋쩍고 부끄러웠다. 그래서 나중에는 하다못해 신문이라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페터가 건네주는 신문이나 시사 잡지를 얻어다 읽기 시작했는데, 그때 거주 공동체에서 체험한 두려움과 호기심이 뒤섞인 논쟁은 나로선 씁쓸한 경험이었지만 그래도 내가 국제적 상황에 눈을 뜨고 그에 관심을 갖는데 큰 자극을 주었던 게 사실이다. 그리고 페터의 사회 정치적 활동을 이해하는데도 알게 모르게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     

   

  페터의 정치적 활동은 60년대의 학생운동으로 시작됐다. 정확히 말해서, 1967년에 바젤대학에서 20명의 학생들이 “진보 학생단체”를 창립할 때에 그도 그중의 하나였다. “반권위주의”를 표어로 삼고 출발한 이들은 나치의 파시즘에 대한 후반작업, 냉전 이데올로기와의 논쟁, 베트남 전쟁의 추종자들에 대한 공공연한 대항을 중심점으로 활동을 펼쳤다. 그리고 얼마 후 바젤의 고등학교 학생들과 직장 견습생들이 그로부터 영향을 받아 같은 성격의 진보 단체를 만들어 진보 학생들과 연대함으로 그들의 활동 영역이 더욱 커졌다. 페터와 같이 거주 공동체에서 살던 네 명도 그에 속했었다.


  그리고 일 년 뒤인 1968년에 소위 “68운동”으로 불리는 젊은 세대의 대대적인 항의 물결이 프랑스, 특히 파리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세계의 여러 곳으로 번져 나갔다. 그들은 냉전시대에 구태의연한 정부의 정치 사회적 구조와 제도에 저항하고 베트남 전쟁을 신랄히 규탄하며 거리로 나가 대대적인 항의를 펼쳤다. 68운동은 나중에 “68젊은세대운동”, “68학생운동”, “68문화운동”의 이름으로 역사에 남게 됐는데, 나는 삼사 년이 지나서야 신문학의 영화사 강의와 세미나를 통하여 68문화운동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됐다. 68운동 가운데 영화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화젯거리는 1968년 제21회 칸느영화제(5월 10-24일)가 젊은 영화감독들의 개입으로 행사 중간에 막을 내린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유사 이래 처음이었던 이 사건은 앙드레 말로 문화부 장관이 프랑스 시네마테크의 앙리 랑글루아 관장을 부당하게 해고함으로 시작된 것으로, 그에 분개한 프랑스의 영화계는 대대적인 항의로 그에 맞섰다. 그중에는 60년대에 세계 영화의 방향을 바꾸어 놓은 “누벨바그”(새로운 물결) 영화 운동을 일으킨 젊은 감독들, 특히 장 뤽 고다르와 프랑수아 트뤼포가 항의대의 앞장을 섰다. 앙글로아 관장은 프랑스 시네마테크를 세계적 권위의 수준으로 올려놓은 국제적으로 인기가 높았던 영화 애호가로서 누벨바그 감독들에게 그는 둘도 없는 훌륭한 스승으로 누벨바그 감독들은 앙글루아가 다시 돌아올 때까지 항의를 계속했다. 그런 사이에 칸느에서는 뉴벨바그 감독들인 장 뤽 고다르, 프랑수아 트뤼포, 클로드 러쉬, 루이 말, 로만 폴란스키 등이 칸느의 무대에 올라서서 ‘파리에서 데모를 하고 있는 노동자와 학생들과의 연대 차원에서 칸느영화제는 영화 상영 프로그램을 마친다’고 선포를 함으로 영화제는 중간에 끝이 나버렸다. 그해 칸느의 개막 영화는 할리우드에서 만든 빅토르 플레밍 감독의 1937년 작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였다. 그러므로 칸느영화제는 누벨바그 감독들의 항의를 계기로 그간 할리우드 영화에 쏠려있던 구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물결의 세대를 맞게 됐다.                                                          
11월호에 계속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