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6.5 | 특집 [레지던시, 창작과 지역을 향하다②]
머무르지 않을 때 함께 성장할 수 있다.
작가들이 말하는 레지던시
김이정(2016-05-17 14:12:51)




레지던시에 지원하는 이유는 작가마다 다양하다. 말 그대로 창작 공간 즉 작업실을 마련하고 유지하기 힘든 작가들에게는 공간의 필요가 가장 크겠지만 그 외에도 작가들 간의 교류와 창작 공간에서 제공하는 전시 기회, 해외 교류, 지원금 등 저마다의 복합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예술 지원 제도와 각종 '사업'들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정부 주도의 정책으로 시행되어온 국공립 레지던시와 더불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출범 그리고 국가문화예술지원 시스템의 정비로 작가들이 가장 익숙해진 단어는 작업이나 작품 대신에 사용하게 된 '사업'과 각종 '영수증' 그리고 '정산'인 것 같다. 기금지원에 선정되어 안도의 한숨을 돌리던 작가들이 연말이면 '정산'이라는 고통의 노래를 부른다. 물론 공공기금을 사용하는 데에는 그만큼의 책임이 따라야하겠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정도가 과중하고 현실적으로 증빙되기 어려운 조항들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산취득으로 분류되는 장비 구입비가 지원금에서는 책정될 수 없기 때문에 장비를 구입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에도 굳이 대여를 해야 한다거나 외장하드나 메모리 카드와 같이 요즘의 작업환경에서 꼭 필요하고 소모적인 기자재도 지원금으로는 살 수 없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보조금 카드 사용이 되는 않는 재래시장에서 재료나 부품 등을 구입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국공립 레지던시의 지원 프로그램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국가문화예술지원 시스템과 같은 맥락에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자체자금'을 갖춘 예술가에게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시킨다는, 지원이라기에는 '투자'의 개념에 가까운 기존의 정책 방향에서 많은 문제들이 파생된다. 그러나 예술은 모두가 알다시피 가시화된 성과가 단기간에 드러나기도 힘들뿐 아니라 전시나 프로젝트의 결과가 작가들에게 직접적인 수익의 형태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타 분야의 '사업'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성과 위주의 경쟁과 행정
아티스트 레지던시를 운영하는 기관이나 지원 단체의 입장에서도 역시 위와 같은 맥락에서 기관과 단체의 존속을 위해 성과를 드러내는 '사업'들을 기획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레지던시의 기본적인 행사가 된 오픈 스튜디오와 보고전 외에도 지역연계, 시민참여, 교육 프로그램, 기획 전시나 프로젝트 등등 기관의 제안이 적극적인 경우에 오히려 입주 작가들은 자신의 작업에 집중하기 힘들 때가 많다. 한편 기관이 기획한 프로그램에 부합하지 않는 작가들은 그 과정에서 지원대상자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그러면 작가들의 불만이 접수되고 또 그렇기 때문에 기관의 입장에서는 기획된 행사를 잘 수행해줄 수 있는 작가들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역 연계 프로젝트의 경우 3개월이나 6개월, 길어야 1년인 레지던시 기간은 지역에 대한 리서치와 작업을 모두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인 시간이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잘 짜인 지역연계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실행은 빈약하고 예산도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작가의 입장에서도 커뮤니티의 입장에서도 재미없었던 과욕으로 끝나게 되고 만다. 그렇게 정신없는 레지던시의 시간이 흐르면 새로운 작가들이 입주하고 위의 과정은 다시 반복된다.

레지던시에 지원하려는 작가들은 많고 공간은 부족하기 때문에 경쟁률이 점점 높아지고 심사위원의 구성에 따라 혹은 창작 공간에서 지향하는 목표에 따라 선별 기준이 적용된다. 작가들이 바라는 것은 안정된 환경에서 작업에 몰입할 수 있는 창작 공간이고 이것은 어쩌면 사람으로 태어나서 마땅히 주거권을 가져야하는 것처럼 아주 보편적인 형태에 더 가까울지도 모른다. 작업실은 기본적으로 경쟁과 프로모션의 공간이라기보다는 작가들에게는 필수적인 생활의 공간에 가깝기 때문에 1년마다 옮겨 다니거나 내년을 걱정하지 않고 장기간 입주가 보장될 수 있는 집단 창작촌이나 예술인 마을이 작가들이 바라는 궁극의 레지던시 형식에 더 가까울지도 모른다.

레지던시는 작가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고 더 많은 기회가 작가들에게 주어져야 하지만 현재 엇비슷하게 운영되는 국공립 창작 스튜디오들의 운영체제보다는 더욱 다양한 형태의 레지던시가 생겨나야 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