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6.4 | 칼럼·시평 [문화시평]
'여기서,지금' 이어야하는 이유
공간 시은 <여기서, 지금>
이우정(2016-04-15 10:51:04)




'여기서, 지금'이라는 기획전시회가 갤러리 시은에서 열렸다.미술 작업을 하는 전주의 청년 작가들이 모여서 공부모임을 한다는 이야기는 들었었는데 모여서 같이 전시를 하고 간담회를 한다고 했다.'청년'이라는 말이나 '지역'이라는 말이 붙으면 뭔가 있어 보이는 시절이 된듯한데 무엇이 달라지고 있는지는 실감이 안 나는 세상이다.청년과 지역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 둔갑한 것은 힘이 없는 약자 위치에 있는 말들이기 때문이다.청년은 지원이 필요한 대상이 되었고 지역은 변방이라는 말과 동의어처럼 쓰여 진다.거기에 미술이다.예나 지금이나 힘들고 돈 안 되고 외로운 작업이 미술 아니던가?무슨 작업을 하고, 어떻게 작업을 하고, 무슨 생각으로 작업을 해나가는지 궁금했다.
나는 미술과 다른 연관은 없고 시간이 나면 전시를 보기를 즐기는 사람이다.미술 관련 책을 몇 권 보기도 하고, 미술을 업으로 하는 지인이 몇 분  계시지만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만한 사람은 아니다.그런 사람에게 공간 시은은 오며 가며 둘러보고 지나가는  전시의 경험을 좀 더 진득한 행위로 만들어 주는 공간이었다.전시를 기획하고 전시 공간에 숨결을 넣으려는 정성 때문에 찬찬하고 진진하게 작품과 마주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었다.
간담회는 7시에 시작했다.작가들은 전북대 미술대 대학원이나 학부에 적을 두고 있었다.특별한 형식이 없이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시작되었다.다섯명의 작가들의 이야기를 듣고 작품과 작업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권오현 작가는 유교적인 관습이 많이 남아 있는 전주에서 체면치레에서 벗어 났을 때 해방감을 느꼈고 집단의 틀에 맞춰 사는 것 보다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자유에 가까워진다고 말했다. 작품마다 들어 있는 'I don't give a fuck' 이라는 말이 인상적이었다.김다정 작가는 비어 있는 의자를 통해 시대를 살아가면서 겪는 아픔과 좌절감을을 치유하고자 하며 행복하고 불행했던 시기를 기억하려고 한다고 했다.우울증은 하나의 병명이 아니라 현대의 징표를 드러내는 상징이기도 하다.
비어 있는 의자는 의지가 되었던 상대의 모습을 통해 '부재'의 아픔을 드러내며  공감을 획득해 나가는 방식으로 읽혀졌다.의자는 상처받은 나이면서 동시에 위로를 주는 대상이기도 한 것처럼 보였는데 회피하지 않고 마주서서 작업을 했다는 것이 남다르게 느껴졌다.

김연경 작가의 "BlackDog"시리즈 작품들은 그리스.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한 서양의 르네상스 고전회화의 주인공을 개의 머리로 형상화해서 그렸다. 동물의 의인화와 익숙한 고전의 만남은 문학적이면서 신선하게 낯설었다.

박건구 작가의 '포스트 박스'는 어릴적 꿈을 명랑하게 보여주었다. 작가와의 대화에서 가장 많이 웃으며 이야기 했다. 꿈을 꾸고 그것은 보여 줄 수 있는 작업은 본인만이 아니라 주변도 행복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홍수연 작가는 '손짓'에서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내면도 표현할 수 있다는 생각을 통해 소통의 방식과 단절된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를 발견하게 했다.작품을 이야기 하는 작가들은  진중하고 진지했고 질문은 날카로웠다.작지 않은 2층 공간은 30명 가까이가 모여 두시간 가까이 열기가 더해져 갔다.전시를 기획하고 스터디 모임을 주도 하고 있는 채영씨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우리는 지역미술을 논하기 위해 모인 것이 아니라, 모여서 공부를 하다보니 지역의 미술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젊은 세대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모인 것이 아니라 모이다보니 우리 세대의 작품들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지역 미술의 한계를 설명하거나 청년 세대 작가의 힘든 점을 이야기하기 위한 기획도 아니다.  이번 전시는 우리가 공부를 함께 하는 가운데 각자의 작업부터 돌아보기 위해 모였다 . '여기서,지금'은 동시대 미술에서 함께하고 있는 이 곳 지역의 작가가 무슨 작업을 하고 있는 지부터 보고자 시작된 전시다. 다음에는 동시대에 대한 이야기, 그 다음에는 지역에 관한 이야기로 점점 그 외연을 넓혀 볼까 한다. 2015년은 청년 작가들에게 있어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보고 거기에 반응하는 관객층을 확인할 수 있었던 여러 사건/기획의 해였지만 전주에서 그러한 움직임이 크게 발견되지 않아서 아쉬웠고 또다시 이것이 서양의 현대미술을 수입했던 한국의 근현대미술 때처럼, 트렌드를 베끼는 형태거나 서울(혹은 중앙)의 한 흐름을 베껴오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함께 하는 작가들과 고민하고 공부하면서 흐름을 만들어 가고 싶다.''여기서, 지금' 이라는 전시 제목은 매우 적확하다.지역을 목소리 높여 이야기 하고 있지 않지만 작업에 녹아 들어가 있다.그들이 살아오고 공부하고 있는 지역의 정서와 현실, 청년으로서의 감성과 자각은 굳이 말로 강조 하지 않아도 다다르는 결론일 수밖에 없다.미술이 삶과 생각을 담아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문제의식도 작업 방식도 이 친구들이 옳다.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나다운 것을 찾아 나가는 것, 내가 살고 있는 것이 담기는 것 그것이 미술과 청년 정신이 지향해야하는 것의 고갱이가 아닐까?그렇다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모여드는 지역의 청년 작가들의 움직임은 얼마나 소중한 시작인가?그렇게 청신한 기운이 시작되고 있었다.'지금, 여기에서' 그렇다면 지역과 기성세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질문에 답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