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22.9 | 연재 [윤]
시칠리아에 쌓여 있는 문명의 지층들
윤지용 편집위원(2022-09-14 14:06:08)

윤지용의 시칠리아 여행기 2

시칠리아에 쌓여 있는 문명의 지층들



윤지용 편집위원



대륙의 가장자리에 있는 반도에 ‘고인 채로’ 수천 년을 살아온 우리는 혈통이나 문명의 다양성이 몹시 낯설다. ‘반만년 동안 지켜온 단일민족’을 너무 당연하게 여기다 보니 여러 문명과 민족들이 서로 부딪히고 섞이면서 살아온 나라들이 희한하게 여겨진다. 그렇지만 문명과 인종의 이동과 교류는 생각보다 훨씬 오래되었고 폭넓었다. 동북아시아에서 고구려의 우방이었던 돌궐(튀르크)이 유라시아대륙을 가로질러 가서 오스만튀르크제국과 오늘날의 터키공화국을 만든 것도 한 예다. 문명과 인종의 교류는 대륙뿐만 아니라 해양에서도 활발했다. 해양문명의 원조 격인 지중해의 한복판에 있는 시칠리아에는 고대 그리스부터 로마, 이슬람 세력과 노르만까지 다양한 세력의 흔적들이 지층처럼 켜켜이 쌓여 있다.



신전들의 계곡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이 번창하고 인구가 점차 증가하자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지중해 곳곳에 진출해서 식민도시들을 건설했다. 동쪽으로는 오늘날의 터키 영토인 아나톨리아반도까지, 서쪽으로는 이탈리아반도 남부와 시칠리아섬까지 진출했다. 아직 나침반도 해도(海圖)도 없던 시절에 이미 ‘대항해시대’를 열었던 그들은 시칠리아섬 곳곳에 수많은 신전들과 반원형극장들을 지었다. 시칠리아에 남아 있는 고대 그리스의 유적들은 양적으로나 보존상태로나 그리스 본토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고 한다.

시칠리아섬 남동부의 도시 아그리젠토 근교에 ‘신전들의 계곡(Valley of Temples)’이 있다. 계곡이라기보다는 지중해가 내려다보이는 능선 지형인데, 이 일대에 기원전 5세기를 전후해서 그리스인들이 세운 신전들이 모여 있다. 이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고 유명한 것이 콩코르디아(Concordia) 신전이다. 여섯 개의 기둥으로 된 신전의 파사드(앞면)는 유네스코 심벌마크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신전들의 계곡에는 이 밖에도 제우스 신전, 헤라클레스 신전, 주노 신전,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등 모두 7개의 신전들이 남아 있다. 시칠리아의 주도 팔레르모에서 남쪽으로 130km쯤 떨어진 아그리젠토는 팔레르모에 머물면서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다.



로마가 만든 원형경기장들


그리스인들에 뒤이어 시칠리아섬에 온 것은 카르타고였다. 이들은 오늘날의 북아프리카 튀니지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해양세력이었다. 훗날 로마제국과 지중해의 패권을 두고 포에니 전쟁을 치렀던 이들이다. 카르타고는 그리스의 식민도시들과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하면서 시칠리아섬의 동부를 지배했다. 기원전 264년에 벌어진 제1차 포에니 전쟁은 시칠리아를 침공한 로마에 맞서 카르타고와 그리스 식민도시들이 싸웠던 전쟁이다. 23년에 걸친 긴 전쟁은 결국 로마의 승리로 끝났고, 그리스계 도시국가 시라쿠사에 살았던 아르키메데스도 로마군의 손에 죽었다. 제1차 포에니 전쟁의 승리로 로마는 시칠리아의 지배권을 확보했고, 지중해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로마는 여러 가지 면에서 고대 그리스의 문화를 계승했다. 알다시피 로마 역시 그리스의 신들을 받아들여 섬겼다. 신들의 이름이 로마식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그런데 그리스와 로마는 닮았으면서도 달랐다. 그리스인들이 연극 공연을 위한 반원형극장을 지었다면, 로마인들은 검투사들의 싸움을 구경하는 원형경기장을 지었다. 카타니아나 시라쿠사를 비롯한 시칠리아 곳곳에는 그리스 반원형극장 근처에 로마인들이 만든 원형경기장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유적은 시칠리아뿐만 아니라 한때 그리스의 식민도시였다가 로마제국의 영토가 되었던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슬람 세력과 노르만 왕조


827년 북아프리카에서 건너온 이슬람 세력이 시칠리아를 점령했다. 그들은 팔레르모를 수도로 삼고 200여 년간 시칠리아를 지배했다. 오늘날 아랍과 이슬람 국가의 상당수가 저개발국가로 분류되고 내전에 시달리는 나라들이 있다 보니 ‘미개한’ 세력으로 오해받고 있지만, 유럽이 중세의 암흑기를 지나는 동안 우마이야 왕조, 압바스 왕조 등 이슬람 진영은 고도로 발달된 문명을 이루었다. 오늘날의 천문학, 대수학, 의학 등은 이슬람 문명의 학문적 성취 덕분에 발달했다. 우마이야 왕조와 그 후계자들은 이미 그보다 백 년 전에 북아프리카에서 지브롤터해협을 건너 오늘날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인 이베리아반도를 수백 년 동안 지배하기도 했다.

11세기 후반에는 노르만족이 이슬람세력을 물리치고 팔레르모를 정복하여 시칠리아 왕국을 세웠다. 북유럽이 근거지인 노르만인들이 유럽의 최남단인 시칠리아섬까지 세력을 확장했었다는 것이 놀랍다. 노르만인들을 시칠리아 왕국을 거점으로 이탈리아반도 남부의 나폴리 일대까지 지배했다. 노르만 왕조 시절의 시칠리아 왕국은 배타적이지 않았다고 한다. 라틴어, 그리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들이 공존했고 아랍 양식부터 고딕 양식까지 다양한 건축문화가 융합되었다. 팔레르모에 있는 대성당과 노르만 궁전, 몬레알레 대성당 등은 이런 여러 양식들이 한데 어울려 있는 문화유산이다.






문명의 교차로 시칠리아


노르만 왕조 이후에도 독일, 프랑스의 왕가들이 번갈아 시칠리아를 지배했다. 한 동안은 신성로마제국의 땅이기도 했다. 팔레르모 구시가지에 있는 ‘포르타누오바’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와 스페인 국왕을 겸했던 카를 5세가 북아프리카의 튀니지를 정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웠던 일종의 개선문이다. 1535년에 세워졌던 것을 50년 뒤에 더 화려하게 다시 지었다고 해서 ‘새로운 문(Porta Nuova)’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문에 새겨져 있는 벌거벗은 인물들은 북아프리카계 아랍인인 무어인들이다. 아마도 카를 5세가 이들을 정복했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 같다. 이렇듯 수천 년 동안 여러 세력이 지배하면서 다양한 문명들이 충돌하고 교류했던 문명의 교차로 시칠리아는 19세기 후반 통일이탈리아 왕국이 수립되면서 비로소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다.




8월호 41쪽 ‘팔라쵸 아드리아노 마을의 성당’ 사진은  ‘비잔틴, 아랍, 노르만 양식이 섞여 있는 팔레르모대성당’ 사진이 잘못 소개되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