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8.2 | 문화현장 [문화저널]
1988년 문화계의 달라지는 것들
편집부(2015-06-09 09:48:09)


 올해 문화계에는 어떤 변화들이 찾아올까. 문화 예술분야를 전과 달라지게 하는 요소는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지금이 이른바 IMF시대라는 것이고 두 번째는 새로운 정권이 들어선다는 것이다.

 IMF는 문화계를 고통스럽게 하겠지만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우선 문화예쑬이 기업이나 저부의 지원을 덜 받게 되면서 대중들과의 접촉에 사활을 걸 것이 때문이다. 벌써부터 소극장 공연이나 소품 위주의 전시회 등이 기획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변화는 결국 어라나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되는 '진검승부'가 될 것이다. 여기에 그동안 물밀 듯이 밀려들어왔던 외국 유명단체들의 공연이나 국제행사들도 뜸해질 전망이다. 벌써부터 각 문화예술들은 이 부분의 예산을 삭감하거나 행사 자체를 유보 시키고 있다.

 음악의 경우 음반수입 업체가 타격을 받고 있고 녹음을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하던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미술은 역시 소품중심의 전시회가 활발하게 기획되고 있고 작품값에 얹혀있던 거품도 상당히 걷혀서 40% 세일전 등이 유행하고 있다. 영화 역시 외화수입이 거의 끊어졌다는 소식이고 배우나 스탭의 개런티도 대폭 떨어질 전망이다. 문학-출판계는 불황이 즐겁지는 않지만 나쁘지도 않다는 반응이다. 통계에 따르면 불황기에 책 판매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외국 작가들의 작품을 비싼 로얄티를 물어가며 수입해오던 기획자들이 이제 국내 작가들에게 눈을 돌리는 상황이 되면 오히려 작가들의 입지는 한층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무용 역시 몇개의 소품을 엮는 연작 시리즈가 늘어날 전망이다. 여기에 그 동안 지나치게 세분화되었던 음악, 소품, 의상 등을 공연자들이 직접 맡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대중가수들 역시 몸값이 크게 떨어지고 그 동안 외국에서 해왔던 녹음이나 믹싱작업들이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다음 정책적인 변화로는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의 선거 기간 문화공약이었던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의 원칙에 따라 많은 제약과 규제가 풀어질 전망이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변화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문화부의 독립과 여성부의 신설 가능성이다. 이 두가지 정부 부처의 사설은 올해 문화정책의 핵심적 쟁점이 될 것이다. 여기에 공보처가 어떤 형식으로든 수술될 것이고 멀티미디어 산업도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이다. 그 동안 문화예술계의 원성을 샀던 공연윤리위원회도 생존을 위협받는 상황이 되어 있다.

 문화행정에서는 우선 확정된 것이 무형문화재 전승 지원금이 매달 70만원에서 1백만원으로 인상되고, 5대궁의 관람시간이 다소 늘어났다는 점, 그리고 지금까지 경찰서가 하던 3백석이하의 극장 설치 허가를 시-군-구청이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각 지역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전북의 경우 연초부터 소극장 연극과 소품전이 활발하게 벌어지고 각 단체들도 직접 대중들을 찾아나서고 있다. 물론 이런 움츠리기가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그 동안 어렵계 쌓아온 각 분야의 전문성이 경시되고 각 작품의 질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진검승부속에서 살아남는다면 IMF는 한국 문화예술 발전의 기폭제가 될 수도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