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6.1 | 문화현장 [리뷰]
천인갈채상, 극작가 최기우·소리꾼 방수미 선정
(2016-01-15 11:53:13)

 

 

올 한 해 전북지역에서 가장 열심히 활동한 전북문화예술인으로 최기우(42), 방수미(40)가 이름을 올렸다.
천년전주사랑모임(이사장 김완주)이 주관한 천인갈채상은 지역 문화계 전반에서 활약하고 있는 청년예술인들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상으로 시민 1,000여명이 후원을 하고 직접 모바일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한다.
극작가 최기우는 연극과 창극, 뮤지컬, 창작판소리 등 다양한 극본을 집필하며 전북 무대극 분야에 활성화를 위해 힘썼다. 동시에 최명희문학관 학예연구실장, 전주대 국문과 겸임교수, (사)전북작가회의 사무처장, (사)문화연구창 이사 등을 맡으며 지역 예술계의 한 축을 공고히 다졌다.
국립민속국악원창극단원과 전주판소리합창단 단장 등을 맡고 있는 방수미는 올해 소리극 '빅터 춘향', 한국방송공사가 주관한 '광복70주년 기념 대국민 합창-우리 가(歌)', '대한민국 대 통합 아리랑', 대서사 음악극 '혼불' 등 활발한 공연을 통해 뛰어난 연기와 소리를 선보였다. 그동안 서울, 부산, 전주, 광주에서 개인발표회를 13회나 치렀을 만큼 실력파 소리꾼으로 정평이 나있다.
네 번째로 천인갈채상을 수상하게 된 이들은 각각 500만 원씩 진흥기금을 받게 된다.

 

 

 

현대미술가의 시선으로 바라본 '백제'
'백제'를 재해석하고 그 역사성과 지역성을 새로운 가치와 현대미술가의 시선으로 재해석한 <백제의 재발견-현대미술리포트>展이 열렸다.
이번 전시를 위해 참여한 작가 20명은 과거 백제의 문화융성 시기를 엿볼 수 있는 현장을 2차례에 걸쳐 익산 왕궁리 유적과 미륵사지, 공주와 부여 지역 부소산성과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등을 답사했다.
김범석 작가는 익산 왕궁리 5층 석탑에서 느낀 감정을 형상화한 <백제의 숨1- 왕궁리>를 선보였다. 눈에 보이는 석탑과 소나무를 통해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지금도 여전히 땅 밑에 있을 수많은 백제 유물들을 작품으로 드러냈다.
서용선 작가는 역사 속의 사람들을 그려냈다. 그가 출품한 4.8m×7.5m의 대작 <무왕(武王)>은 역사의 유적과 구전되는 내용을 화폭에 담았다.
이상조 전북대 교수는 백제역사유적지 현장에서 마주쳤던 유물에서 영감을 얻은 <이어지다 1,2,3> 시리즈 작품을 전시한다. 백제라는 지나간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시공간이 초월해 상호 소통함으로써 서로 이어지길 바라는 그린 이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이번 전시는 2월 14일까지 전북도립미술관 본관에서 열린다. 관람료 무료.
문의 063.290.6874

 

 

 

다시 꽃 피는 전라감영, 역사와 의미를 세우다

어진박물관(관장 이동희)이 전라감영의 역사와 옛 도청사와 관련한 유물을 한데 모아 전시를 열었다. 전주시와 전라감영복원재창조위원회가 주최하고, 어진박물관과 전주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특별전.
전시는 전라감영 및 전라감사와 관련된 유물과 옛 도청사 관련 자료 등 60여점이 전시되었다.
미암일기는 1571년에 전라감사를 역임한 미암 유희춘이 명종 말에서 선조 초까지 관직에 있으면서 정치, 사회, 문화 등을 기록한 책으로 전라감사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
태종대왕 어필현판은 1414년 태종이 청백리로 소문난 안성을 강원감사로 임명하면서 친필로 써준 것을 판각한 것이다. 1790년대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감사 선생안', 전주부성을 축조한 전라감사 조현명의 초상도 전시된다.
옛 도청사의 모습도 사진과 3D 동영상으로 재현된다. 또한 철거 전 각계 전문가들이 선정한 옛 도청을 대표하는 철거품을 활용한 이색전시도 이뤄졌다.
전시장에는 전라감영 선화당 앞 회화나무 모형이 설치되며, 전라감사가 돼 사진을 찍어볼 수 잇는 포토존도 마련됐다.
전라감영의 역사와 지방통치 관련 유물, 감영의 출판문화·부채·소리관련 유물, 전라감영터에 얽힌 동학, 발굴 조사 유물 등 과거 감영의 모습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옛 추억 가득한 그곳, '그때 그 시절 영정통 사람들'

영정통은 70~80년대 '작은 명동'이라 불리던 상업과 금융, 문화의 중심지였다. 아주 오래전 익산이 '이리'라고 불리었을 때는 그곳은 시외버스가 지나는 가장 크고 번화한 도심이었다고 한다. 전설처럼 내려오는 이야기다.
전북 익산문화재단이 일제강점기 익산에서 가장 번화가였던 영정통(榮町通)의 역사를 담은 <그때 그 시절, 영정통 사람들>을 발간했다
익산문화재단은 지난해 12월부터 책 발간을 준비했다. 김진아 익산문화재단 문화정책팀장과 원광대 학생 5명은 1년 동안 발품을 팔며 주민들을 만나 도시 형성 과정, 골목 이야기 등을 듣고 영정통의 역사·인물·명물·미래를 148쪽 분량으로 엮었다.
1977년 11월11일 59명이 숨지고 1342명이 다친 이리역(현 익산역) 폭발 사고도 담았다. 당시 공연을 위해 익산에 있다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가수 하춘화와 코미디언 고 이주일의 일화도 실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