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9.8 | 기획 [주민들이 만드는 진짜 여행, 관광두레]
색다른 농경문화를 만나다
김제
이동혁·김하람(2019-08-14 15:11:30)

1차 산업인 농업이 중심을 이루는 마을, 편리함을 좇아 도시로 떠난 사람들로 휑해진 시골 마을에 다시금 활기찬 바람이 불고 있다. 농촌체험마을 사무장과 김제시 농촌체험관광협의체 두루두루협회 사무국장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역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인식하게 된 경용주 씨는 관광두레 사업을 통해 농촌을 살릴 해결 방안을 찾기 시작했다. 우리 지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체험거리를 찾기 위한 숱한 고민과 상품 개발, 농경 문화의 발상지 벽골제를 중심으로 한 숙박 시설 마련 등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였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쌀자루로 업사이클링을 시도한 '손누리이야기협동조합',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삶의 향기 공동체', 김제의 온유한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는 '사랑골영농조합'과 '벽골제 마을' 등이다. 올 여름 가족과 함께 어디서 휴가를 보낼지 고민이라면, 벽골제를 중심으로 농경 문화의 순박하고 정감 어린 정서를 맛볼 수 있는 김제로 떠나보자.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차린 건강한 식탁
도시에 살면서 우리가 먹는 음식들이 과연 얼마나 안전한지 다들 한번쯤은 고민해 봤을 것이다. 음식점에 가더라도 차림표의 음식이 전부 국내산인 경우는 드물고, 국내산이어도 농약이 얼마나 사용됐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삶의 향기 공동체 허영숙 대표는 사람들이 여유롭고 편안한 곳에서 건강한 음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삶의 향기 공동체는 김제로 귀농한 다섯 가정이 가족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모인 공동체다. 꾸지뽕, 감자, 어린 싹 농사, 조청 체험 등 각자 하는 일은 다르나 유기농 친환경 방식으로 농사를 짓고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삶의 향기 농가 맛집은 농촌진흥청이 지정한 농가 맛집이며, 농촌우수체험공간으로 식사, 체험 숙박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곳이다.


"가까운 곳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먹는 것이 환경에도, 건강에도 좋아요. 오셔서 건강해지고 가는 느낌을 받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친환경 농산물인 만큼 가격이 저렴하지는 않지만, 매 끼니마다 내 가족에게 차려 준다는 마음으로 건강한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 김제 특산물인 쌀의 우수성과 영양적 가치를 소개하고, 올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저염식 장아찌 등 안전한 먹거리를 만드는 체험 활동도 함께 진행하고 있어 아이와 함께 가족 여행을 떠나기 안성맞춤이다. 지역 명소는 지역 주민들이 가장 잘 아는 법. 삶의 향기 농가 맛집에서 식사를 했다면,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넌지시 물어 보도록 하자. 내소사, 벽골제 등 주변 관광지와 지역 주민만이 알 수 있는 숨겨진 아름다운 명소를 허 대표에게 소개받을 수 있을 것이다.


쌀자루의 재탄생, ZARU
김제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벽골제와 쌀이다. 지역 자원을 활용한 관광지나 체험 활동은 있으나 김제를 대표하는 상품이 없어 손누리이야기 협동조합은 많은 고민을 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버려진 쌀자루를 활용한 업사이클 상품 브랜드 '자루'다. 버려진 플라스틱들이 모여 한반도의 7배가 넘는 섬을 이루고 있다는 사례는 우리가 얼마나 쉽게 물건을 사용하고 버리고 있었는가를 잘 보여준다. 재활용하는 습관을 기르고, 지구와 상생하는 길을 제안하는 업사이클링은 환경 문제가 심각해진 오늘날 떠오르는 분야다.
김제에서 쌀 포대는 끊임없이 쓰이며 버려지는 것이다. 손누리이야기 협동조합은 이를 활용하여 지갑, 가방, 클러치 등을 만들었다. 주민들이 상품 개발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많은 시행착오와 다양한 개선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지역의 특색이 묻어난 상품, 주민 입장이 아닌 소비자 입장에서 만든 상품,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갈 수 있는 상품, 주민들의 땀과 정성으로 만든 상품이 바로 자루다. 쌀이라는 지역의 특징과 환경을 생각하는 착한 마음이 담긴 자루 가방은 김제를 대표하는 상품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경용주 PD가 생각하는 김제 관광의 미래란?
관이 주도하는 지역 관광 사업은 예산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속성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주민 주도의 관광 사업은 지역 관광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주민들만의 힘으로는 지역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자체는 시설이나 환경, 지원 사업의 연계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주민사업체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상품 운영에 필요한 역량 강화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서로 각자의 역할들을 적절히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때 비로소 주민 주도의 관광사업체의 자립, 발전 및 지역 관광이 활성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관광두레 사업으로 주민들이 스스로 상품을 만들고, 소비자와 관광객들을 직접 만나 판매하며 프로그램도 운영함으로써 상품의 문제점도 찾아내고 개선 방안도 마련하며 자신감을 갖게 됐다. 주민들 스스로 어려운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고 있다는 것에 대해 감사할 따름이다.
관광두레 사업이 상품의 생산 및 프로그램 운영 과정을 통해 지역 알리기와 지역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에는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보지만, 사업이 정착되지 않은 단계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주민사업체를 발굴하는 과정부터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주민사업체에 맞는 멘토를 찾아 상품을 개발하는 과정까지, 이 모든 과정을 제한된 기간 내에서 추진하다 보니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정작 중요한 파일럿 사업은 한두 번밖에 할 수 없었다. 지역의 특성을 살린 상품과 체험, 숙박시설 발굴을 위한 노력 등 고민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있었지만, 한정된 시간과 지역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이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