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7.8 | 특집 [문학평론가 천이두 교수 별세]
'일천 개의 하늘의 별'이 되어 또다시 이 땅을 굽어 보고 계시겠지요
임명진(2017-08-28 15:23:29)



서기 2017년 정유(丁酉)년 칠월 대서(大暑)의 절기에 즈음하여 하남(何南) 천이두(千二斗) 선생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선생님께서 이승을 떠나신 지 채 일순(一旬)이 되었을 뿐인데, 제가 느끼는 시간의 흐름은 달포도 더 지난 듯합니다. 그 사이에 더위와 폭우가 번갈아 앞다투면서 한여름 장마의 변덕스런 날씨가 이어지기는 했을지언정 필시 거기에다 그 빠른/더딘 세월감을 탓할 수도 없을 터입니다. 아무래도 선생님께서 저와 다른 세상에 계신다는 사실이 아직도 실감되지 않는 탓이려니 합니다. 강단에서의 꼿꼿함도, 「쑥대머리」를 부르실 때의 호방함도, 또 바둑판 건너편에 좌정하신 단아함도 모두 어제의 모습 같은데, 어느 순간 저 세상에 가 계신다는 게 믿기지 않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내심 한 켠으로 명계(冥界)로 향하시는 선생님의 여정(旅程)을 상상해봅니다. 안개서린잿빛강을건너가없는회색벌판을지나서구름띠를휘감은아스라한설산봉우리를넘어하늘끝저편어느별자리의자주빛성루(城壘)를거니실것같은 선생님의 그 길고도 바쁜 여정을 그려봅니다. 아마도 선생님의 그 변화불측한 여정으로 해서 이 진세(塵世)에 남아 여름장마 속을 지루하게 서성이는 제가 그렇게 세월의 빠름/더딤을 느끼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이제는 해보는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인간의 대소사는 물론이고 삶과 죽음마저도 초월하여 세월은 무심하게 흘러가니, 정녕 회자정리(會者定離)요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는 철리(哲理)에 다시금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천이두(千二斗) 선생님!
오늘 강변 마을 작은 와실(蝸室) 창문 너머 장맛비로 불어난 도도한 강물의 흐름을 보면서 저는 선생님의 가르침을 충분히 챙기지 못한 회한에 젖습니다. 우레 끝에 비가 내리고 그 빗방울들이 모여 저 어기찬 흐름의 강물을 이루었건만, 저는 선생님의 천둥 같은 가르침을 귓전으로 그저 흘렸다는, 그래서 선생님의 빗물이 제 혈류 어디에 닿아 있는지 알 수 없노라는 회한이 그것입니다. 더구나 선생님의 경해(磬咳)를 다시는 어디에서도 접할 수 없다는 사실이 이제는 회한을 넘어 통절(痛切)에 이르게 합니다. 선생님 살아생전에 자주 뵙지 못한 게 이래저래 송구스럽기조차 한 것입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선생님은 자주 뵙기가 쉽지 않은 분이었습니다. 선생님을 뵐 때마다 저는 늘 묘한 긴장감 같은 것을 느끼곤 했었습니다. 사십사 년 전 선생님의 「문학개론」 첫 수업 시간 때부터 그 긴장감은 팽팽하였고, 그 후 연구실에서 뵈올 때도, 어쩌다 바둑판을 사이에 두고 앉을 때도, 심지어는 주석에서도 그 긴장감을 늘 서려 있었습니다. 저는 가끔씩은 그 긴장감을 즐기기도 하였으나, 대체로 거기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가 많았으므로 선생님과의 만남은 다소 뜸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선생님의 「문학개론」 강의에서 느꼈던 긴장감에 홀려 문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선생님의 비평문을 읽으면서 그 긴장감을 독서의 환희로 환치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로 문학평론가의 길을 걸게 되었습니다. 선생님께서 가끔 「쑥대머리」를 부르실 때는 긴장을 넘어 비장미(悲壯美)를 느끼곤 하였고, 그 웅숭깊은 맛에 이끌려 판소리 단가와 장단을 조금 공부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고 보면 제가 지금 문학평론을 하는 것이나 판소리를 애호하게 된 것이나 모두 선생님께서 저에게 건네준 긴장감 탓이라고 밖에는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저의 평문은 누구에게도 독서의 환희를 제공하지 못하고, 제가 꾸역꾸역 내지르는 판소리 단가는 비장(悲壯)의 근처에도 접근하지 못한다는 것을 저는 잘 압니다. 선생님을 어설프게 흉내 내면서 반평생을 살아온 셈입니다만, 그러나 그런 흉내 내기를 조금도 후회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좀 더 자주 뵈어 다 가깝게 흉내 낼 수 있었어야 했는데 하는 회한이 남는 것입니다.


선생님!
십수 년 전 티베트를 여행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베이징에서 비행기로 쓰촨성(四川省) 청뚜로 날아가 거기에서 비행기를 갈아타고 티베트로 들어가는 도중에 비행기 창밖에 거의 수평으로 구름 위에 우뚝 솟은 설봉(雪峰) 하나를 보게 되었습니다. 일망무제의 운해(雲海) 위로 홀로 수백 미터는 넘게 펜촉처럼 솟아올라 있는 설산을 보면서 저는 신비한 자연미에 감탄하고 말았는데, 이 감탄에 이어 곧장 단가 「호남가」의 "만장(萬丈) 운봉(雲峯) 높이 솟아, 층층한 익산(益山)이요"라는 대목을 연상하게 되었고, 연이어 당시 익산 소재 모 대학에서 막 정년퇴임을 하신 선생님을 자연스레 상기하게 되었습니다. 연상과 상기는 이것저것 새끼와 손자를 치면서 내달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실타래 같은 상념들을 차츰 지배하는 것은 예의 '긴장감'이었습니다. 비행기 차창 밖 설산은 차츰 뒤로 멀어져 갔지만 그 긴장감은 반비례로 더 선명해지고 있어서 저는 동 티베트 하늘 위에서 한참 동안 선생님을 생각하면서 아스라이 멀어지는 설산을 고개를 돌려 돌아다보곤 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왜 그 설산을 보면서 '선생님의 긴장감'이 되살아났는지는 궁금증으로 남았습니다.
궁금증은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여행에서 돌아와 확인해보니, 이 설산은 쓰촨성(四川省) 서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따쉬에산맥(大雪山脈)에서 가장 높은 해발 7,556m의 산봉우리로 중국식 지명은 궁가산(貢嘎山)이었습니다. 주변의 어느 봉우리보다 일천 미터는 높게 솟아 있다는 사실도 함께 알게 되었는데 이런 과정에서 그 궁금증이 일거에 풀린 것입니다. 주변보다 장히 오백 길은 우뚝 높이 솟았다는 데서  예의 '긴장감'이 생겨난 것도 함께 깨달았습니다.


천이두(千二斗) 선생님!
선생님께서 등단하신 1959년, 당시 한국의 평단은 오늘날과는 매우 달랐습니다. 1910년대 이후 근 반세기 동안 서양문학 전공자들이 평단을 독차지하여왔고, 그러다보니 서양문학론의 수용과 이식(移植)이 평론계의 불문율로 굳어져 있었던 것입니다. 50•60년대에 등단한 소위 제2세대 비평가(선생님을 위시하여) 대열에 비로소 국문학 전공자들이 끼이게 되었지만, 70년대까지도 서구문학 전공자들이 비평계를 좌지우지해 왔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시 한국평단은 서양식 풍취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치달아가고 있었던 것인데, 한편으로는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한국비평의 전통이나 독자성에 대한 각성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당대 비평가 중에 이런 각성에 제대로 부응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선생님의 한(恨) 연구는 이런 점에서 이런 시대적 요청에 가장 잘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나아가 서양이론에 편승한 소위 '번역비평'의 폐단을 넘어서 새로이 한국 비평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쾌거라 할 것입니다. 곰삭은 '정한(情恨)'을 한국문학 전반의 핵심적 토양으로 규정하시고, 그것을 매우 치밀한 논리와 보편적인 준거를 통해 해명함으로써, 선생님의 한(恨) 연구는 학문적 체제는 물론이고 비평적 직관과 통찰을 동시에 확보하였다는 세평(世評)을 받았습니다. 여기에 저는 선생님의 『한의 구조 연구』(문학과지성사, 1993)로 해서 과거 근 한 세기 가까이 지속되어온 이른바 '한국비평의 서구 식민화'부터 비로소 벗어날 수 있었다고 덧붙여보는 것입니다.
이제 이런저런 생각들을 간추려보니 선생님께서는 20세기 한국 비평계의 우뚝 솟은 설봉과 같았습니다. 구름 위로 솟구친 그 물매 가파른 설산에는 추호의 비속(卑俗)과 미망(迷妄)도 터잡지 못했습니다. 때로는 만상(萬象)을 두루 비추는 거울과 같이, 때로는 만물의 본질을 탐색하는 렌즈와 같이 순백의 투명한 빛을 발산했을 뿐입니다.


하남(何南) 선생님!

   하남 천이두 선생님은
   차운 계절만 거느리시던
   북극의 별이시었습니다.
   북두칠성의 하나가 빛 고히 내려
   선생님의 영혼이 되었을 것입니다.
       소재호의 '애도의 시' 「영(靈)의 세계에까지 비추신 별」(2017년 7월 11일 영결식)에서


'북두칠성의 하나의 빛 고히 내려' 생전 선생님의 영혼이 되셨다면, 이제는 그 영혼은 다시 승화하시어 하늘로 돌아가셨을 것으로 신지무의(信之無疑)합니다. 다시금 귀천(歸天)하는 길목에서 궁가산의 설봉을 휘돌아 오르셨을 터이고, 이내 순백의 경지를 훌쩍 넘어 유현(幽玄)한 창공 어디쯤에서 별이 되셨을 겁니다.
 
   한때 가는 곳이 어디 남쪽이냐 하더니
   끝내는 이 땅의 별이
   일천 개의 하늘의 별이 되었다 한다.
     - 이운룡의 추도시 「이제 나도야 간다」 (전북일보 2017년 7월 14일)에서


시인의 상상으로는 '일천 개의 하늘의 별'이 되셨을 거라 합니다. 아마도 이 남녘땅을 골고루 비추어 보시려면 적어도 천 번 이상의 눈길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을까요? 이 남녘땅의 숱한 생채기들을 한 번이나마 일별하는 데는 천 번의 눈길이 필요하다고 보았을까요? 하지만 선생님! 살아생전에 이 눈길 저 눈길, 그 눈길 요 눈길…  응대하시고 챙기시느라 얼마나 노심하셨습니까? 이제 남은 것들은 저희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이제 선생님께 비옵기는, 그 숱한 상념(想念)의 눈길을 이제는 지그시 감으시기를 바랍니다. 이 티끌 많은 세상에서 미수(米壽)의 세월 동안 끓이어 온 상념을 부디 떨치시길 원합니다. 정녕코 '이 남쪽을 어찌할거나!' 하는 상념은 이제 후생들에게 넘길 때가 되었으니까요.
선생님께서는 정녕 별이 되셨다면, 그래도 이승의 연을 어찌할 수 없어 남쪽 창공 어느 한 별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필경에는 남두육성(南斗六星)의 오롯한 어느 한 별 되시어 이 땅을 굽어보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이 남쪽을 어찌할거나!' 하는 상념을 한 번 하실 때마다 한 번씩 빛을 발하여 이 남녘 땅 하늘에 반짝거리실 것만 같습니다.
하지만 선생님! 이 남녘 땅에 대한 걱정은 그만 하시고 그저 다른 별들과 함께 판소리 한 자락을 나누시기를 바랍니다. 또 먼저 별이 되신 사모님 가까이 가셔서 서로 마주 보며 두 별((二斗)이 반짝반짝 서로를 비추면서 부디 편안한 안식의 은전을 누리시길 바라옵나이다.   
2017년(丁酉) 7월 17일
소생(小生) 임명진(林明鎭) 재배(再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