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호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9.9 | 연재 [여행유감]
님이 계신 자리 님이 떠나신 자리
길상사와 심우장
장윤준(2019-09-17 11:23:21)



그는 잘생겼지만 속된 말로 '찌질'했다. 열흘 전, 그가 함흥을 떠나 경성으로 향했을 때는 분명 총각이었다. 그리고 열흘 뒤 그는 유부남이 되어 돌아왔다. 그의 애인은 함흥 권번 소속의 기생이었다. 그리고 여자가 떠났다. '님'을 떠나보낸 남자는 눈이 내리는 날 소주를 마시며 시를 썼다.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시인 백석은 함흥의 영생고보 교사 시절 함흥 기생 진향(본명 김영한)과 사랑에 빠졌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자야가 바로 그녀다. 백석은 부모님의 반대를 이기지 못했다. 그리고 그 짧은 열흘, 부모의 강요로 장가를 들었다. 자야는 배신감에 경성으로 떠났고, 백석은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시며 자야를 그리워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이렇게 탄생한 작품이다. 백석과 자야는 이후에도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했지만, 결국 휴전선에 가로막혀 평생 만날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자야는 친일 기업인 백인기의 별장 '청암장'을 인수, 요정 대원각을 차려 크게 성공했다. 대원각은 군사정권 시절 힘 있는 사람들이 드나들며 '요정정치'의 대명사로 불렸다. 1997년, 자야의 10년 간청 끝에 법정 스님은 대원각을 시주 받아 길상사(吉祥寺)로 탈바꿈시켰다. 자야는 대원각을 시주하며 '1,000억 원이라는 돈이 백석의 시 한 줄만도 못하다'라는 심경을 남겼다.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 입구'에서 내려서 걷는다. 버스를 타면 금방이지만 부러 걸어본다. 숨이 턱까지 차오르고, 버스를 안 탄 것을 후회할 무렵 길상사에 도착한다. 사찰은 아담하다. 크기도 그러하거니와 사찰 특유의 꾸밈이 없다. 법정 스님은 자야의 10년 간청을 들어주었지만, 절을 꾸미지 않음으로써 '무소유'를 실천했다. 그래도 눈에 띄는 꾸밈이 있다. 관음보살상이다.


길상사의 관음보살상은 마치 천주교 성모마리아상과 닮아 있다. 법정 스님은 생전에 종교 사이의 벽을 허물기 위해 노력했는데, 길상사의 관음보살상 제작을 독실한 천주교 신자로 알려진 최종태 조각가에게 부탁했다. 이에 최종태 조각가는 "땅에는 나라도, 종교도 따로따로 있지만 하늘로 가면 경계가 없다"며 길상사의 관음보살상을 조각했다. 관음보살상이 성모마리아상과 닮은 이유다. 길상사의 유일한 석탑 길상보탑 역시 종교 간의 교류 의미를 전하기 위해 한 기업인이 성북성당, 덕수교회를 통해 무상으로 기증했다.


자야는 법정 스님에게 길상화라는 법명을 얻었다. 그리고 "내가 죽으면 눈이 제일 많이 내린 날, 내 뼛가루를 길상사 마당에 뿌려주세요"라는 유언을 남겼다. 백석 시인을 그리워하던 '님'은 길상사 자체가 되었다.

2.
길상사를 나와 다시 걷는다. 만해 한용운의 유택 심우장(尋牛莊)으로 향한다. 만해 한용운은 평생을 항일운동과 불교중흥을 위해 동분서주했다. 그리고 1933년 벽산 김적음 스님과 친지들의 도움을 받아 성북동에 작은 집을 마련했다. 만해는 이 집의 이름을 심우장이라 짓고 입적할 때까지 기거하였다.


심우(尋牛)란 '자기의 본성인 소를 찾는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만해 한용운은 "대자연을 따라서 초연생활(超然生活)을 할 생각도 하여 보았습니다"라며, 항일투쟁과 옥고에 지친 심경을 내비치기도 했다. 그랬던 그가 말년에 마련한 거처의 이름을 '심우장'이라고 붙인 것은 승려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삶을 살겠다는 다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 만해 한용운은 심우장을 짓고 불운한 시대로, 그리고 속세로 다시 뛰어들었다.


심우장에 도착하자마자 정면에서 바라본다. 처음 눈에 띄는 것은 닳아 있는 문턱이다. 실제 일송 김동삼 선생이 독립운동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하자, 만해 한용운이 그의 주검을 수습하여 심우장에서 5일장을 치러주었다. 심우장의 닳아 있는 문턱은 당시 깊은 산골 만해 한용운을 찾아온 친지들의 수를 가늠케 한다.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심우장 시절 만해 한용운과 교류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반가운 손님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만해 한용운은 자신을 만나러 심우장에 찾아온 최남선에게 '내가 아는 육당은 죽었으니 돌아가라'라며 호통을 쳤다고 전해진다.
심우장은 한옥 건축물 중 찾기 어려운 북향(北向) 한옥이다. 남향으로 집을 지으면 조선총독부가 보인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은 심우장 북쪽 1km 정도 떨어진 곳에 일본 대사관저가 자리 잡고 있다. 역사의 비극을 생각하며, 신발을 벗고 심우장 안에 들어간다. 만해 한용운은 '조선의 땅덩어리가 하나의 감옥인데 어떻게 불 땐 방에서 살겠냐'며 입적할 때까지 차가운 냉돌 위에서 생활했다고 한다. 실제 심우장에는 한낮에도 햇볕이 들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여름에는 습하고 더웠으며, 겨울에는 추웠을 것이다. 만해 한용운의 친지들은 그가 차가운 바닥에 앉아 허리를 꼿꼿하게 세워 앉아서 생활했기에 '저울추'라고 불렀다 한다.


만해 한용운은 「님의 침묵」을 백담사 오세암에서 집필했다. '님'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지만 분명한 것은 만해 한용운은 말년에 심우장에서 떠나간 '님'을 기다리며 정진했다는 것이다.


심우장은 작고 소박했다. 그러나 속세를 등져야 하는 삶과 식민지 시대 등불이 되고자 노력했던 만해 한용운의 큰 삶을 찾을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