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2.11 | [문화저널]
화암사의 우화루와 극락전
김혜진․전북대 박물관 (2004-01-29 16:11:20)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중에서 하앙식 구조를 지닌,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가천리에 있는 화암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천리라는 마을에서 시루봉을 향하여 산길로, 험한 계곡을 한 시간 정도 걸어 올라가면 꽤 높은 지대에 화암사라는 절이 자리하고 있다. 화암사는 신라시대에 창건 되었다고 하며 동쪽 언덕에 원효대가 있고 남쪽에는 의상암이 있었다 한다. 화암사의 건물 중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인 건물은 우화로로, 남북방향으로 높게 서있다. 이 건물 서쪽에는 회랑과 같이 주에 붙여 세워진 요사가 있고 이 사이에 대문을 두어 계단을 밟아 절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구실을 한다. 대문을 들어서면 우화루 북쪽에 거리를 두어 극락전이 우화루와 같이 남향으로 세워져 있다. 극락전 서쪽에는 수묵당과 아주작은 산신각이 있으며 동쪽에는 불명암이 놓이고 이 건물 남쪽으로 좀 떨어진 곳에 명부전, 북쪽으로 좀 떨어진 곳에는 철영제가 놓여있다. 여기에는 우화루와 극락전의 건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하앙식 공포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화루(보물 제 662호) 보통 누각 건물은 마루 바닥을 지면에서 한 층 높이 만큼 떨어뜨려 2층으로 다락방 형식으로 지어졌는데, 이 건물은 정면이 루문형식이고 후면은 단층건물로 반루각식 형식을 취한다. 누각 건물은 좋은 장소나 궁궐, 사찰, 향교 등에 많이 세워졌는데 향교나 사찰에 세워진 누각은 기능에 따라 문루, 종루, 고루, 경루 등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 우화루 건물은 종이 걸려 있는 것으로 보아 종루로 사용된 듯하다. 정면의 바닥은 자연석으로 단단하게 기단을 만든 후에 그 위에 주춧돌을 놓고 주춧돌 위에 자연나무를 잘라서 사용한 기둥이 5개가 놓여져 있으며 2층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건물의 지붕은 가장 단단한 지붕 형식인 지붕면이 양면으로 경사를 짓고 있는 맞배형식이며 천장은 건물 내부에서 서까래 바닥면을 보이게 하는 연등 천장이다. 이 건물의 공포는 공포를 기둥 위 뿐만이 아니라 기둥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하는 다포계 건물이며 조선 광해군 3년(1611)에 지어진 목조 건물이다. 극락전(보물 제 663호) 극락전은 1981년에 건물을 해체, 보수할 때 묵서영이 발견되어 조선 선조 38년(1605)에 건립되었음이 밝혀졌다. 극락전은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자연석을 적당히 잘라 가공하지 않은 채 초석으로 사용하므로 수평 고름이 서로 맞지 않는 초석을 말함)를 놓고 기둥을 세웠다. 기둥은 기둥머리, 기둥 몸, 기둥 뿌리의 순으로 점점 커지는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민홀림 기둥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맞배지붕을 한 자그만하고 소박한 규모의 건물이다. 건물 정면에는 빗살문으로 된 분합문을 가운데칸에 4짝, 협칸에 3짝씩 달았으며 옆면에는 출입할 수 있는 문을 마련하였고, 뒷면에는 서쪽의 협칸 및 가운데칸 다 같이 벽 가운데에 문짝을 달았던 흔적이 있다. 건물 안 가운데칸 뒤쪽에는 불단을 만들고 그 위에 극락전이라는 건물 명칭과는 맞지 않게 관음보살상을 봉안했으며 불단 위쪽에 닷집을 짜올렸는데 그 안에는 날으는 용을 조각하였다. 내외부의 단청은 측, 백, 황, 적, 청색으로 채식되었는데 문양은 용, 학, 연화, 불상 등을 대들보 중앙이나 내외 공포지벽 등에 그렸다. 가구는 다포계의 맞배지붕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공포는 하앙이란 구조를 지닌 우리나라 현존하는 건물 중 유일한 예이다. 하앙식 공포 하앙은 공포 구성재의한 부분으로 포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기로 한다. 포라는 것은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지에서 목조 건축에 쓰여지는 조직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기둥 위에서 기둥과 보, 기둥과 도리 등의 수식재와 횡가재가 맞추어질 때 장식적 혹은 구조적으로 짜여져서 여러 부재가 결속된 것을 말한다. 즉 공포는 주두, 소로, 청차 등이 결합되어 처마 끝의 무게를 기둥에 전달한다. 기둥 위에 주두가 놓이고 주두 위에 직교하는 청차가 그 위에 소로를 놓아 층층히 청차를 높여 도리를 받는 것이다. 공포는 이미 고구려의 고분벽화에도 등장하고 있다. 그 발생은 중국에 기원을 두고 있으나, 중국의 공포는 구성부재가 우리나라의 것보다 많으며 처마와 지붕의 무게를 받는 구조재로서의 성격도 강하다. 송나라 때에는 공포를 포작이라고 불렀는데 포작은 공, 앙, 두의 세 부재로 구성되었다. 공이란 우리나라의 청차를 가리키며 두는 주두와 소로를 합친 것을 칭하여 앙이란 청차 위에 서까래와 나란히 경사지게 놓이는 부재로서 처마의 하중을 청차와 주두로 전달하는데,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처마 자체를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축물에는 이앙이라는 부재가 생략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앞서 말했듯이 우리나라는 고분벽화에서 등장하고 있듯이 하앙은 인류가 신석기시대 후기 혹은 청동기 시대부터 수혈주거에서 처마의 서까래를 땅에서 떼어 놓기 시작했을 때 비의 들이침을 막기 위하여 서까래 끝에 바로 덧댐목을 연장 시키거나 건물내부에서 빠져 나오는 구조재를 서까래에 연결하여 받쳐지게 하는 방법에서 나온 지금의 평신포 보다는 아주 원초적인 구조로 볼 수 있다. 중국이나 일본은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하앙을 써왔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실존건물을 보지 못하고 다만 가구의 유물로 몇점이 소장되고 있다. 이것을 관찰했을 때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하앙을 써왔다고 생각할 수 있고 이후에 사용했는지의 사용여부를 알 길이 없다. 극락전의 하앙식 공포는 우리 나라의 유일한 예로, 이 양식을 볼 수 있는 곳으로 화암사는 한 번 찾아갈 만한 곳이다. 가는 길이 너무 조용하고 시원해서 마음이 산뜻해진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