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1.11 | 특집 [사람과사람]
고창 「동리문학회」
최지윤․고창지역 비상임편집위원(2004-01-29 16:34:28)


고창을 들어서면 우선 왼편으로 백제의 가요 방등산곡(方等山曲)에 전해내려오는 방장산의 푸근한 능선이 눈에 띄고, 한편으로는 호남 내륙을 방어하기 위해 쌓았다는 고창읍성(모양성)이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채 읍내를 내려다보고 있어 시선을 끈다. 그리고 그 바로 밑에는 토끼타령, 박타령, 심청가, 적벽가, 춘향가, 가루지기타령 등 여섯마당이 판소리를 편술한 동리(桐里) 신재효의 생가가 자리 잡고 있다. 오동나무가 많아 오동나무골-(桐里)로 불리웠던 이곳에는 동리의 생가를 둘러싼 낮은 담장옆으로 말쑥한 국악당이 들어서 있고 그 앞마당이 바로 동리문학회의 모임장소이다.
동리문학회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신재효의 문학적 토양을 이어받고 보존하고자 만들어진 문학회다. 초기에는 고창고, 고창여고 학생들의 소모임으로 시작하여 이제 그 역사가 25년을 넘어서고 있다. 지역에서 25년이라는 역사를 일구어낸 것 자체만으로도 놀라운 일이 었지만, 그 기간동안 전통의 계승에 그치지 않고 현실과 더불어 변화, 발전해온 그들의 노력은 더욱 놀라운 일이다.
처음엔 지역의 문화적 전통의 계승과 순수한 문학에 대한 사랑을 표방하고 나선 이들이 이제는 과거의 전통과 서정성을 바탕으로 하면서,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의 현실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그 삶을 보듬어 안으려는 문학회로 성장해 있다.
이들은 동리의 후예임을 자랑스러워한다. 더불어 동리를 탄생시킨 고향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에 누구보다도 진한 애착을 가지고 있다. 방등산곡을 비롯하여 많은 구전가요, 민요가 전해내려오고, 갑오동학농민전쟁의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곳, 해방공간의 아픈 역사가 깊게 새겨져 있는곳, 무엇보다도 자신을 낳아주신 아버지, 할아버지들의 삶의 숨결이 짙게 배어있는 고향에 대한, 그리고 그 삶에 대한 사랑이 25년을 이끌어 온 힘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들은 2주세 한번씩 정기모임을 가진다. 문학지망생인 학생회원들과 졸업후 지역에 남아 활동하는 일반회원들이 모임을 주도해 나가고 있는데, 주로 후배회원의 습작과 선배회원의 지도로 모임의 내용이 이루어지고, 문학, 역사에 대한 학습이 병행된다. 해마다 문학의 밤과 시전을 개최하고 문학기행을 실시하며 올해는 몇 년동안 중단되었던 <함께사는 마을>이라는 회지도 만들어 내었다. 이 회지는 매월 정기적으로 발행할 예정이며, 더욱 알찬 작품활동을 위해 문집을 발간할 예정이다. 학생들의 손으로 만들어진 회지이기 때문에 다른 문학회의 회지에 비해 볼품이 없는 것은 사실이나 동리인이 새로운 출발과 앞으로 활동을 다짐하는 내용들은 알차다.
올해 문학의 밤은 11월 2일 시인 안도현씨를 모시고 시낭송, 북춤, 촌극등 다양한 내용으로 치룰 예정이다. 동리문학회의 모든 역량을 발휘하는 가장 큰 행사는 시전(詩展)이다. 시전을 치르기 위해서는 장소가 필요한데, 이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한다. 예전에는 고창 문화원에서도 장소를 제공해준 적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것마저도 쉽지 않게 되었고, 그들 나름대로의 자료를 정리해 둘 공간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더욱이 고창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일반회원의 수가 적어서 실제적인 행사준비는 학생회원들의 몫이 되어 이들의 짐은 무겁기만 하다.
동리문학회의 오랜 역사속에서 서정주 같은 지역출신의 문인들이 한때는 같이 참가하여 작품지도를 해주기도 했고 지금도 몇몇 분이 관심을 가져주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동리인들이 서울, 전주, 기타 타지역에서 생활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열악한 문화적 환경속에서 남아있는 동리인들과 학생회원들의 작업은 아직도 ‘퍽퍽’하기만 하다고 그들은 말한다.
지금 동리인으로서 학생회원을 지도하고 있는 시인 김판용씨(고창고, 교사)는 동리문학회가 자생적인 문학단체로서 긴 역사를 이어내려오면서, 그들이 추구하는 ‘농경문화에 바탕을 둔 리얼리즘’ 이 지역의 건강한 문화적 기반을 닦는데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음을 조심스레 말한다. 그리고 이런 문학적 토양을 보존하고 발전시켜가기 위해서는 지역에 남아서 좀더 구체저긴 지역의 삶과 접목된 문학을 생산해낼 회원들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그들이 주체가 되어 동리문학회를 이끌면서 활동할 때, 그 긴 역사만큼이나 풍부한 내용을 가지고 지역문화에 튼실하게 뿌리내릴 수 있을 것이다.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그들이 담아내야할 책임의 몫은 크기만 하다. 그러나 이제까지 동리의 울타리를 지켜온 회원들의 노력과 특히 학생회원들의 성숙한 모습에서 언젠가는 꽃피워질 동리인의 문화적 성과를 기대해 본다. 끝으로 중앙대 문예 창작과에 재학중인 23代동리인 김장근씨의 시 한편을 소개해 본다.

밥테기꽃
시골집 뒤란에
밥테기꽃 피었습니다.
배고픈 시절
할머니 어머니 시집살이적에
긁어도 긁어도 한주걱도 못되는
누른 꽁보리밥 눈물로 삼키며
그리고 먹고 싶었다던 흰 쌀밥
한그릇
올해도 밥테기꽃 고봉으로
피었습니다.
국민소득 사천불 선진국이라
떠들어대도
해마다 피어나는 밥테기꽃 보면
아직도 배도 안차는 시절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