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4.11 | [새책 및 새비디오]
책읽기
문화저널(2004-02-03 14:16:49)
수줍게 뒤돌아 선 누드 -20세기 한국의 인물화 &#43090;우리 인물화의 역사를 통해 미술과 사회, 미술인과 일반인의 관계가 친근하게 회복됐으면 한다.&#43091; 미술평론가 이주헌씨가, 금세기 우리 인물화의 흐름을 정리하여 우리사회, 우리미술을 읽는 새로운 채널을 만들었다. &#43088;20세기 한국의 인물화&#43089;라는 부제로 주선시대에서부터 일제시대, 해방기를 비롯, 80-90년대의 동성연애자, 압구정동 오렌지에 이르기까지 우리 근. 현대 미술사를 개괄해 보고, 그 시대정신과 우리 삶의 흔적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여준다. 주요화가 53인의 작품 140여점이 담겨있다. <이주현, 재원, 1994> 봄비 여류작가 하면 우리는 애정소설이나 가정문제를 다룬 소설을 떠올린다. 그러나 이런 통념을 깨뜨린 작가가 있다. 바로 윤정모다. 그가 창작집을 냈다.『밤길』,『가자, 우리의 둥지로』등 10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이 책은 1988년『밤길』이란 제목으로 발행되었다가 이번에 신작『봄비』를 함께 묶어 재발간하게 된 책이다.『님』,『고삐』 등을 통해 스케일 크고 깊이 있는 작가로 우리에게 깊이 인식된 윤정모, 그의 이번 창작집 역시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고 있다. <윤정모, 풀빛, 1994>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43088;오늘의 문화는 사람들 사이의 격의 없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광장이다. 그곳에는 쓰레기도 있지만 보석도 있고, 단절의 옹벽도 잇지만 화해의 실마리도 존재한다.&#43089; 문화평론가 강영희씨가 문화비평집을 냈다. 본격적인 문화비평집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나오는 것이므로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몰래카메라와 스타들에 대한 이야기, 문학, 연극, 영화에 이르기까지 대중문화의 다양한 뒷면들을 평이하고 대중적인 문체로 해부해 나가고 있다. <강영희, 사회평론, 1994> 사상의학 &#43088;사상의학&#43089;의 완성자인 실학자 이제마의 일대기를 쓴 글이다. 서자라는 신분상의 고뇌와 함께 치유 불가능한 만성고질로 번뇌하던 그가 한의학에 빠져들면서 사상의학을 완성하게 되기까지의 과정과, 이조 말 도탄에 빠진 백성들의 생활상에 괴로워하면서도 민란 진압의 선두에 서게 되는 기구한 운명에 대한 이야기를 다섯 권에 걸쳐 펼쳐 보이고 있다. <노가원, 친구, 1994> 누구와 함께 지난날의 꿈을 이야기하랴 명실 공히 연변문학의 대부로 군림하고 있는 김학철의 산문집이다.『격정시대』를 비롯한 10여권의 작품으로 해외교포문학 중 단연 최고의 성과라 꼽히는 그의 이번 산문집은 최근 몇 해 사이에 연변과 서울 등지의 여러 매체에 발표된 산문 가운데 지난날의 삶을 반추 회상하는 글들만을 추려 엮은 것이다. 소설로는 미처 담아낼 수 없었던 지난 시절의 이야기들이 담겨져 있다. <김학철, 실천문학, 199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