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7.3 | [문화저널]
곤충이야기 / 뱀눈나비 날개는 찢기지만 살아남아 대를 잇는다
글·김태홍 전북대교수·농생물학과 (2004-02-12 14:44:58)
뱀눈나비류의 수놈은 앞날개 윗면 몸체 가까이에 향기를 내는 비늘(발향린)이 모여 있는데 짝짓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향기는 사람에게는 잎담배의 냄새를 연상케 하는데 바로 이 냄새에 암놈이 반응한다. 짝짓기 후 나무 맥주통 같이 배가 불룩한 모양의 연록색 알을 풀잎에 낳는다. 시골처녀나비, 산지옥나비, 눈많은그늘나비, 가락지나비…. 뱀눈나비과에 속하는 나비들의 이름이다. 뱀눈나비과의 나비는 날개에 눈알모양이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우리나라에는 모두 36종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정상부근의 산록에서만 볼 수 있는 산굴뚝나비로부터 동양열대산이지만 이동성이 강하여 여름철 제주도, 전라남도 등지로 날아드는 먹나비에 이르기까지 24종을 접한다. 날개 색이 어두운 편으로 나무숲 그늘같이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종류가 많고 나무진, 썩은 과일, 고인 물 등에 모인다. 사진에서 보는 뱀눈나비류는 첫 번째가 굴뚝나비[Minios dryas(Scopoli)]로 일본, 중국 동북부, 유럽까지 넓게 분포하는데 년 1회 발생한다. 6월 하순부터 나타나 7월 중순에 최성기를 이루는데 9월 중순까지 볼 수 있다. 낮은 산이나 초원을 천천히 날며 엉겅퀴, 쉬땅나무, 메밀 등의 꽃에서 굴을 빨고 수액, 썩은 과일, 짐승의 똥 등에 모인다. 두 번째가 부처나비(Mycalesis gotama Moore)로 일본, 중국, 인도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 8월 초순에서 하순, 년 2회 발생하고 잡목림 가장자리나 숲 아래 공터, 논길 주변의 풀밭에서 흔히 보는데 밝은 빛을 즐기며 썩은 과일 등에 모인다. 암컷이 수컷보다 바탕색이 연하며 눈알무늬와 크기도 크다. 세 번째는 물결나비[Ypthima motschilskyi(Bremer et Grey)]인데 6월 초순에서 7월 중순까지 년 1회 발생한다. 남쪽의 따뜻한 지방에서는 2회 발생하며 이런 곳에서는 9월까지도 볼 수 있는데 양지바른 잡목림이나 길가에 흔하다. 날개 뒷면의 눈알모양 둘레의 노랑색고리가 선명하지 않고 뒷날개 아랫면에는 언제나 3새의 눈알모양 무늬가 있다. 뱀눈나비류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는데 온대, 한 대에 번성한다. 소형 내지 중형의 나비로 보통은 회갈색의 날개에 연한 줄과 함께 눈알모양의 무늬가 나 있다. 유충은 주로 화본과 식물의 잎을 먹는데 다 자라면 배 끝마디를 풀잎이나 가지에 붙이고 머리를 아래로 하고 매달리어 번데기가 된다. 성충은 암수 구분이 뚜렷하여 수놈의 작고 어두움 색인데 반해 암놈이 크고 밝은 색이며 앞 날래 눈알모양의 무늬가 더 확연하다. 뱀눈나비류의 수놈의 앞날개 윗면 몸체 가까이에 향기를 내는 비늘(발향린)이 모여 있는데 짝짓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향기는 사람에게는 잎담배의 냄새를 연상케 하는데 바로 이 냄새에 암놈이 반응한다. 짝짓기 후 나무 맥주통 같이 배가 볼록한 모양의 연록색 알을 풀잎에 낳는다. 나비류 중에는 밝은 장소에 내려앉을 때 그림자를 가장 작게 드리우도록 앉은 위치를 수정하는 습성을 지닌 종류가 많다. 물론 의도는 방어 차원에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것이다. 뱀눈나비도 이 중의 하나로 양지에 앉을 때는 햇빛이 비치는 방향으로 몸을 기우려 그림자의 길이를 줄인다. 여기에서 짚고 넘어갈 점은 그렇다면 왜 쉽게 드러나는 뱀눈모양을 날개에 지니게 되었는가 하는 의문이다. 훨씬 요란하게 채색이 된 동그란 반지모양의 무늬는 박각시나방을 포함한 다른 곤충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의 기능은 천적에 대한 경고이다. 실험에 의해 밝혀진 바로는 눈모양이 지니는 경고로서의 효율은 정말 눈을 닮은 정도에 따라 높아진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에 비해 완벽하지는 못하나마 뱀눈나비에 나있는 눈모양의 기능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들이 가치는 신체의 중요한 기관과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적의 공격을 그 곳으로 유도한다는데 있다. 그래서 뱀눈나비는, 머리에 목표를 두었더라면 치명적이었을 천적의 공격에서 비록 날개를 찢길지는 모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