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2014.5 | 인터뷰 [꿈꾸는 청춘]
‘건강한’ 빵으로 ‘건강한’ 마을을 꾸린다
영농조합법인 이웃린 국태봉 태표
이세영 편집팀장(2014-04-29 15:06:31)




사위가 깜깜한 새벽. 공장은 반죽을 치대고 무게를 재는 손길이 바쁘다. 이곳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국태봉(35) 씨는 영농조합법인 이웃린의 대표다. 모험가의 피가 끓고 있는 그가 빵공장의 대표가 것은 예정에 있던 일이 아니었다. 교육공동체 이웃린의 시작도, 빵을 구어 교육공동체의 재원을 마련하는 영농조합 이웃린 대표를 맡게 것도 단순한여행에서 시작한다. 고소한 냄새 솔솔 나는 이웃린 빵굼터에서 순탄하지만도, 그렇다고 의미가 없었던 것도 아닌 젊은 인생 이야기를 들었다.


뜻하지 않은 곳으로의 여행, 그리고 뜻밖의 만남


스물일곱, 그는 해외여행을 떠났다. 대학을 졸업하고 돈을 끌어 모아 여행이었다. 여행지는 아프리카. 해외여행으로 택하기에 쉽지 않은 나라로 떠난 것에는 피치 못할 사정이 있었다. “여행을 오래 하고 싶은데 가진 돈은 적었기 때문에 비행기를 한번만 타서 가장 멀리 있는 곳을 찾았어요. 그게 아프리카였죠.” 마음이 끌려서 여행지는 아니었지만 아프리카는 그에게 새로움의 땅이었다. 그야말로 우연히 지역사회와 마을을 위해 일하는 엔지오 활동가들을 만났다. “제가 다니던 교회에서 선교사님께 전화 드려 도움을 청했지 제가 도움이 거라고는 생각을 적은 없었거든요. 막상 가보니 전공인 건축으로 일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땅바닥에 도면을 그리기 시작했다. 건축가가 전무한 상황에서 그의 전공은 빛을 발했다. 모금을 위한 조감도를 그리는 일은 그에게는 쉬운 일이었지만 현지 활동가들에게는 어려운 일이었다. 그렇게 아프리카에서 활동하는 유엔, 엔지오와 연결이 되기 시작했다. 보통 한국의 20대가 만나기 어려운 이들을 1 반의 해외여행 기간 동안 줄기차게 만난 셈이다. 

여행은 그의 삶의 경로를 바꿨다. 한국에 돌아온 그는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유엔에서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아프리카에서 굳혔어요. 유엔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영어 말고 3외국어를 해야 하는데 가장 영향력이 높은 프랑스어더라고요.” 서른 무렵, 그는 유엔이라는 꿈을 위해 새로운 길을 나섰다. 


새로운 고산에 교육공동체의 씨앗을 심다


하지만 프랑스 유학은 집안의 사정으로 중도에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에 돌아와서는 모든 것이 끝나는 것만 같았다. “인생을 포기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했다. 그런 그를 보는 그의 어머니도 , 그것을 보는 그도 힘들기는 마찬가지였다. 다시 회사에 들어가기 싫었던 그는 해야 할지 고민하기 시작했고 한동안 삶을 포기한 살아가던 그에게고산 약속의 땅이 되어 주었다.

부모님의 소유였던 고산의 자그마한 땅에 그의 전공을 살려 집을 올렸다. 부모님도 집을 짓길 원했던 터라 직접 집을 지을 결심을 했다. ‘새롭게 몰두할 무언가 필요했던 그에게는 안성맞춤인 일이었다. 1년여 느리지만 인테리어 하나까지 그의 손을 거쳐 자그마한 카페를 가진 집이 완성됐다. 바리스타를 했던 경험을 살려 카페를 운영하며 고산에 사는 여럿을 만날 있었다.


교육공동체를 생각하게 것도 이들과의 만남 덕분이었다. 교육공동체에 대한 그의 생각과 카페를 찾는 사람들의 생각이 다르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카페에 오시는 분들과 꿈에 대해 이야기를 했어요. 비슷한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 많더라고요.” 귀농활동, 마을공동체 결성 활동을 해온 그의 이웃들은 교육공동체에 대한 생각을 오래전부터 하고 있었다. 그가 그런 그들의 생각에 불을 지핀 겪이 됐다. 2010 4 맞는 3명이 모여 교육공동체이웃린 만들었다. 마을 아이들을 학교에만 맡겨놓는 아니라 마을 공동체 모두가 함께 키워나가는 교육공동체이웃린 그사이 50가구가 조합비를 내는 조직이 됐다. “‘이웃린 만들어지게 것은 노력이 전부가 아니에요. 이미 고산이라는 지역에는 교육공동체를 꾸릴만한 토양이 있었던 거죠. 인근의 삼우초등학교도 그렇고 영화사대표, 시민단체 활동가, 마을만들기사업 일을 했던 분들이 있었던 덕에 교육공동체가 비교적 쉽게 자리 잡을 있었던 같아요.”


그는 무엇보다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이는 활동에 열성이다. 그는 교육공동체를 시작하면서 <피츠버그의 빈민가에 > 읽었다. 책을 통해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사가 아니라 함께 길을 제시할 있는어른, 멘토 깨달았다. “고산고등학교는 인문계, 공고상고 떨어지고 마지막으로 오는 곳이에요. 아이들은 중학교 공부 못했다고 인생을 포기해요. 문화, 예술 사람들을 활용해 아이들에게 자존감을 심어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어요.” 시작은 아이들과 어울리고 자연스럽게 마음을 치유하는 것이었다. 한참이 흐른 후에야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그와 대화하고 그의 눈을 마주보기 시작했다. 교육공동체 <이웃린> 음악캠프, 영화다큐 만들기 다양한 활동을 마을 아이들과 함께 하고 있다. ‘ 아이를 키우기 위해 마을이 필요하다 그대로 마을 전체가 나서고 있는 셈이다.


건강한 교육공동체를 위한 건강한 만들기 


교육공동체는 돈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었다. 조합비와 후원만으로는 한계를 느끼던 2012 가을, 교육공동체이웃린이웃린빵굼터를 세웠다. 뜻을 가지고 모인 단체인 만큼 그들이 만드는 빵은 모두를 위한 빵이어야 했다. 천연발효빵. 이웃린 빵굼터에서 만드는 빵은 철저하게 건강한 빵만 만들기로 했다. “우리가 교육공동체로 출발을 했잖아요. 만드는 재료와 빵에 있어서만큼은 확실히 하자고 했어요. 두어 배가 비싼 유기농설탕, 가공유지가 아닌 우유버터를 쓰는 것도 재료만큼은 확실히 하자는 생각에서였습니다.” 

교육공동체에 들어가는 돈을 마련하기 위해 만든 빵공장이었지만 이웃린 빵굼터는 이상을 원한다. 원가가 비싸고 기존 입맛에는 익숙하지 않지만건강한 목표이기에 아무도 알아주지도 천연발효빵을 만드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탓에 사업하기에는 쉽지 않다. 완주로컬푸드 납품을 시작으로 입소문을 타고 판로는 늘었지만 여전히 수익은 지지부진이다. “적당히 타협해서 원하지 않는 재료로 빵을 만들어 팔면 사업은 잘되겠지요. 하지만 저희가 생각한 이상적인 목표에서는 벗어날 수는 없잖아요. 쉽지 않은 길이지만 이웃을 위한 건강한 빵을 만들면서 교육공동체에 도움이 있도록 노력을 다해야죠.”

그의 현재 목표는 회사가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 그는 구성원 모두가 년에 휴가를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고 한다. 열심히 일했으니 재충전의 시간을 갖게 하자는 것이다. “ 달의 시간이 주어지면 오지를 찾아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요. 교사나 엔지오 활동가가 병원을 지을 도면을 그려주는 일을 하고 싶어요. 아프리카에서 그랬던 것처럼 말예요.” 

언젠가 빵굼터가 안정이 되면 건축 공부를 마저 하고 싶다는 . 그는 안정보다 모험을 택하는 유형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예기치 않은 곳에서 평생 가야할 길을 찾았듯, 모험은 그를 그답게 하는 것이다. 여행을 통해 자신의 즐거움을 발견하고, 건축가의 능력을 넓은 세상에 기부하고 싶다는 그의 발걸음을 주목하는 이유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