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500여 년 동안 호남과 제주를 관할하던 전라감영이 본격적인 복원사업을 시작, 철거과정에 들어갔다.
2005년 도청사의 전주 서부신시가지로 이전을 계기로 논의가 시작된 전라감영 복원사업이 복원 및 철거 방식·입주업체 이주문제 등을 둘러싼 논란으로 지연돼 오다, 지난 7월 20일 복원과정에 들어갔다. 전라감영 복원은 총 사업비 479억원을 들여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사업은 2017년까지 전라감영의 모습을 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전라관찰사 집무실이 있던 선화당을 비롯해 참모들이 사무를 보던 비장청, 관찰사 가족들이 기거하던 내아 등을 복원한다. 2단계인 문화시설과 광장 조성사업은 2020년까지 이어진다. 전주시는 “전라감영 복원을 위해 완산구 중앙동 옛 전북도청 본관과 도의회 청사, 옛 전북경찰청 건물 철거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히고 복원 작업의 시작을 알리고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고유례를 지난 7월 9일 가졌다. 고유제를 시발로 올 해 안에 옛 전북도청사 철거작업이 완료되고 내년부터는 전라감영의 중심 건물인 선화당을 비롯 내아·관풍루·내삼문·연신당 등의 건물이 복원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김승수 전주시장은 “옛 도청사 부지는 전라감영의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역사적인 장소다”며 “전라감영 재창조·복원을 통해 호남제일성 전주의 자긍심과 위상을 되찾겠다”고 밝혔다. 또 “전주가 조선왕조의 발상지임을 분명히 하고 역사문화 특별도시로 도약, 문화융성의 꿈을 이뤄내겠다”고 덧붙였다. 전라감영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전국 8도에 설치한 감영의 하나로서 전라도뿐만 아니라 제주까지 다스리는 관찰사가 머물렀던 곳으로 동학농민혁명 당시엔 농민군 자치기구인 집강소의 총본부인 대도소(大都所)가 설치되는 등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공간이다. 일제 강점기인 1921년 전북도청을 신축했지만 51년 화재로 전라감영의 중심 건물인 선화당과 도청사가 전소됐다. 이듬해 건립된 현재 건물은 53년간 전북도청사로 사용됐다.
이후 복원과 관련한 논의와 논란이 10년 가까이 진행돼 오다, 올해 전주시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라감영 복원 재창조위원회를 통해 전라감영에 담긴 역사적 가치와 문화를 공간적 연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로 되살려내는 것을 골자로 복원사업의 방향을 결정하고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전주시는 복원 과정을 영상에 담는 한편, 철거되는 건물에 얽힌 이야기와 사진 자료 등을 모은 백서도 발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