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3.3 | [문화계 핫이슈]
봉서사 "영산작법" 무형문화재로 확정
문화저널(2004-02-03 14:15:59)
불교의 범패중 가장 규모가 크고 장업하면서 불교의식의 전통을 간직하고 범패(불교음악)의 가락이 독특하고 작법(불교무용)의 장엄. 화려함으로 민속예술이 경지를 이룬것으로 주목받아온 완주 봉서사의 영산작법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봉서사 영산작법은 지난 88년 제 29회 전국민속예술 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 에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무형문화재 지정이 요구되어 왔다. 그동안 관계기관의 무관심으로 문화재 지정이 미루어졌으나 영산작법보존회의 노력으로 2월 20일 봉서사에서 시연회를 가진뒤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천인들이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천무와 천음악을 재현하는 영산작법은 중생의 마음을 정화시켜 보살계로 끌어올리는 묘력을 지녔고 부처가 인도의 영취산에서 화엄경을 설파할 때 범천(梵天)에 있는 천인들이 음악과 함께 춤을 추며 꽃을 뿌렸다는 데서 유래되어 이 정경을 극적구성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영산작법은 부처님과 보살들을 꽃가마를 이용해 영산제가 베풀어지는 장소로 인도하는 시련, 사물반주에 맞추어 추는 바라춤이 주가되는 천수바라, 범고춤, 다게작법, 운심게작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작법은 기원은 1천 2백여년전인 통일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범패의 시조인 진감국사는 전북 익산군 금마출신으로 당나라에서 수학하면서 영산작법을 익히고 옥천사(지금의 쌍계사)를 창건하고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쳐 호남지방에 매우 번성했으며 이중 완주 봉서사를 중심으로 그 맥을 이어 왔다. 6.25로 인해 봉서사가 불에 타 의식도구가 사라지고 기능보유자마저 흩어져 한동안 그 맥이 끊어졌으나 범패와 작법의 기능보유자인 장상철, 이강선스님등이 85년에 뜻을 합쳐 영산작법을 재현하고 이듬해에 본서사에 영산작법보존회를 결성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봉사서의 영산작법은 바라춤이나 운심게(나비춤)등이 매우 장중하면서도 화려해 불교예술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우리민족의 예술로 승화됐다는 평을 받아왔다. 특히 이 지역의 예술적 풍요로움이 녹아들어 곡조구성이나 벌성 춤사위뜽이 독특하게 발전해 서울 봉원사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서울범패'와는 차이가 난다는 평가를 받았다. 20일 봉서사에서 가진 시연회에는 영산작법을 전수한스님 30여명등 총 70여명이 출연, 육자배기의 향토적 맛이 스민 범패와 우아하고 장중한 바라춤, 화려하면서도 탈속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나비춤 등을 원형 그대로 재현 4시간 이상 진행됐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