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분야별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1993.5 | [신귀백의 영화엿보기]
심심풀이로 영화보는 관객들을 향한 질타 『돈 황 제』
장세진/ 방송평론가 (2004-02-03 15:26:36)
1989년 『돈황제』(백세종 지음)라는 소설이 출간되었을 때 시중에는 여러 이야기가 나돌았었다. 이 땅 제1의 재벌그룹으로 알려진 회상에서 책이 서점에 깔리자 마자 전량을 유료 수거해 간다고 했고, 한겨레 신문을 제외한 중앙일간지에 광고가 실리지 않아 판매를 원천봉쇄한다는 이야기도 들려 왔었다. 그것이 오히려 반사적 광고 효과를 거두었는지 『돈황제』는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실존하는 재벌 총수의 감춰진 또 다른 모습을 알고자 하는 무릇 대중의 욕구가 반영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도 한때. 『돈황제』는 세인의 기억 밖으로 사라져 버렸다. 영화 『돈황제』의 개봉이 감회 깊은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돈황제』(송영수 감독)는, 우선 소재영역의 확대가 돋보인 영화라 할 만하다. 예컨대 대통령과 주변 연인들을 그린 『서울 무지개』『빨간 여배우』 연장선에서 볼 수 있는 영화인 것이다. 완성도에 대한 이야기들을 일단 접어둔다면 재벌 그룹 회장 왕득구(마홍식)를 중심으로 펼쳐진 내용들이 우리 영화에서는 지금껏 별로 볼 수 없었던 것들이기에 하는 말이다. 거기에는 재벌이 어떻게 재벌일 수 있었는가에 대한 다양한 앵글이 있다. 대형프로젝트를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비인간적 기업 음모가 그렇고, 부식비 3백원 인상을 위해 데모하는 근로자 대중들 모습 또한 마찬가지다. 그 모습들이 무조건 신선한 충격을 줌은 물론이다. 이른바 민주화바람 이후 데모 장면이 영화에 등장했지만 그것들이 흘낏 스쳐지나가는 정도였다면 비교적 오래 머무는 - 다시 말해 이야기들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그렇거니와 그에 따른 근로자들의 생활반경을 리얼하게 포착해낸 앵글 역시 여간 신선한게 아니었다. 가령 출근 시간에 다투어 사용하는 화장실, 할 일 없이 복권추첨을 확인하거나 팬티 절도범을 찾아 몸부림치는 장면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돈 5백만원 때문에 성실한 여공(女工)에서 ‘회춘용’ 매춘녀로 전락하는 것이나 지긋지긋한 가난의 노동을 벗어나기 위해 뚜쟁이로 나선 모습 역시 마찬가지다. 소설아닌 영화에서 만난 그런 장면들이라 더 없이 신선한 것이다. 이를테면 영화의 소재가 그렇게까지 확대될 수 있었던가에 대한 놀라움이 앞선 것이다. 상대적으로 그것은 우리영화의 소재현실을 물고 늘어진 이야기라 할 수 있다.『구로 아리랑』의 22군데 되는 가위질이 그 지점에서 얼른 생각나거니와 그것을 피한 보신책으로 멜러․에로물을 양산했던 제작환경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확실히 『돈황제』는 이제까지 우리 영화가 ‘감히’ 다룰 수 없었던 재벌의 비리와 노사 갈등들을 이야기 축으로 한 관심 끌리는 영화이다. 신선한 소재들을 빚어나가는 솜씨 또한 주목에 값하는 바 있다. 사용자측의 노조분쇄작전을 하드 보일드 터치로 처리하여 주제의식에 전율감 마저 드는 환기가 이루어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보자. 노조대표 양재봉(송경철)에 대한 청부업자들의 살해가 그것이다. 술집에 드나들고 여자를 밝히고 나아가 뚜쟁이로 나선 여공출신을 강간하는 일도 서슴치 않는 묘사 등 앵글의 의도에 의문이 생기긴 하지만 사용자가 고용한 청부업자들에 의한 살해는 반대급부적으로 노사분규가 얼마나 치열했던가를 환기 시켜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사용자쪽의 노조를 깨기 위한 극약처방을 리얼하게 묘사함으로써 우리에게 『돈황제』 같은 영화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답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여공 출신 뚜쟁이가 당한 성폭행과 죽음은 그보다 훨씬 극명한 답을 내리고 있거니와 그 시간 환락에 빠진 장회장과의 대비 화면이 콘트라스트되어 더욱 돋보인다. 그런 점은 왕회장의 일상에 들이댄 앵글을 만나보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왕회장 일파의 보약 먹고 섹스에 탐익하는 도입부가 그렇거니와 외국바이어를 접대하거나 백장군에게 여비서를 ‘헌납’하고 수주를 따내는 장면도 마찬가지다. 지순(서희)이 왕회장의 섹스 파트너로 전락하고 있는 것도 그 연장선에 있다. 또한 보석 주머니를 던져 놓고 열중쉬어 자세로 입을 사용해 줍게 하고 침실에서 반라(半裸)의 차림으로 춤을 추게해 팬티에 손을 찔러 넣는 등 그렇듯 극악한 자본주의 사회의 병폐들은 3백원 인상에 목이 쉬는 근로자들의 그것도 서로 대조적 조화를 이루어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그냥 심심풀이로 영화를 보는 많은 관객들을 질타하고 있는 것이다. “강남에 있는 요정 식순이 보다 월급이 적다”는 열악한 근로자 현실을 기반으로 한 ‘씨악년’ ‘깔’ ‘세수대야(얼굴)도 괜찮은데’ 등 비속어 구사도 『돈황제』를 새롭게 볼 수 있는 영화로 만드는 요인이다. 수탈과 핍박으로 유독 한이 많은 이 땅 전라도 사람들의 욕지거리가 전혀 상스럽게 느껴지지 않는 『태백산맥』의 세계와 맞닿아 있는 셈이다. 그러나 더러 아쉬운 점도 있어 좋은 영화에 대한 길은 역시 멀고도 험란한 것임을 느끼게 해준다. 무엇보다도 기본적 이야기 틀에 지순의 사랑을 굳이 삽입한 시나리오가 불만이었다. 그들은 데모하다가 나와 포옹한 채 키스하고, 그 다음날쯤엔 설악산 여행을 떠나기도 하는데, 모처럼 신선한 충격에 정신이 번쩍든 관객들에게 이맛살을 찌뿌리게 하는 얼개가 아닐 수 없다. 왕회장을 너무 인간적 옹호론에 치우쳐 그려놓은 것도 마찬가지다. “꽃을 보면 고향 생각이 난다”는 대사로 지순을 동일선상에 놓이게 한 것도 그렇지만 남자친구(강석현)에 대한 질타에 가까운 격려성 발언으로 본질을 왜곡 내지 약화시키고 있기도 하다. (주로 왕득구의 여인 편력과 비리 등에 대부분을 할애하고 잇는) 소설의 편향성에 비하면 일견 총체성의 확보로도 보이지만, 그러나 『돈황제』를 떠나 영화계 전반 사정에서 보면 희귀하게 추구한 주제의식이 희석될 것 같아 몹시 아쉽다. 어쨌거나 『돈황제』는 거칠지만 대단한 우리 영화이다.
목록